d라이브러리
"유체"(으)로 총 7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껍질까지 100% 활용한다! 귤껍질 향수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깐 귤이 가라앉는 이유는 두 귤이 받는 부력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부력은 물 같은 유체에 잠긴 물체가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떠오르려는 힘을 말해요. 부력은 물체의 부피가 클수록 커집니다. 이 때문에 부피가 크고 무게가 가벼울수록 물에 잘 뜨게 돼요.귤 과즙에는 당분 등이 녹아 있어서 물보다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원리예요.부력의 크기는 유체에 잠긴 물체의 질량과 상관없이 물체가 밀어낸 유체의 무게에만 비례합니다. 그래서 풍선처럼 부피가 크고 가벼운 물체는 물에 잠겼을 때 중력보다 부력을 더 크게 받아 물에 잘 떠요. 수면과 바닷속을 자유롭게 오르내리는 잠수함은 부피가 일정해요. 그래서 잠수함 ... ...
- [매스미디어] 해적: 도깨비 깃발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밝혀졌어요. 그래서 수학자와 공학자는 방정식의 해와 가까운 ‘근사해’를 구해 실제 유체와 최대한 비슷한 배경을 만들어 내고 있어요. 여기저기 수학으로 가득한 배경 속! 무작정 ‘가자, 보물 찾으러!’를 외치는 무치와 해랑, 그리고 부흥수는 보물을 찾을 수 있을까요? 그들의 모험이 어떻게 ...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Episode 2. 발사 실패의 원인은 부력?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상황을 고려하진 못했어요. 연구원들이 놓친 부분은 바로 ‘부력’이었어요. 부력은 유체 속에 있는 물체가 그 물체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중력 반대 방향으로 뜨려는 힘이에요. 누리호 발사 후 가속도가 생기면서 헬륨 탱크의 부력도 증가했고, 이를 견디지 못한 고정 장치가 빠지게 된 거랍니다 ...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정도예요. 그런데 왜 수학과에 진학하지 않았냐고요? 고등학교 2학년때 R&E 활동으로 유체전산역학을 연구했는데, 수학을 기반으로 한 알고리듬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연구를 했어요. 수학적인 결과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이 좋았죠. 이를 계기로 수학과 컴퓨터공학 모두에 관심을 ... ...
- [기획] 물리학상 vs 역학상 사람들이 안 부딪친다 vs 부딪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토스키 교수는 “사람들의 ‘흐름’을 예측해 혼잡한 상황을 예방하는 것 또한 유체 역학의 응용이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역학상그럼에도 사람들이 부딪치는 이유는? 스마트폰 때문!사람들이 서로 부딪치지 않는 이유가 있음에도, 우리는 길에서 부딪치는 사람을 쉽게 볼 수 ... ...
- 진짜보다 더 진짜처럼, 상상력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현재까지 자연의 움직임을 해석하는 가장 정확한 수식 중 하나다.이전 작품들에서도 유체역학에 쓰이는 다른 방정식을 활용하기도 했지만, 한눈에 봐도 CG임을 알 수 있는 수준이었다. 가령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이 활용되기 이전 작품에서는 기본적인 물리법칙인 뉴턴의 운동법칙(F=ma) 같은 ... ...
- [DGIST 융복합 파트너] 초음파와 빛의 융합 공기 방울로 극대화한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초음파와 빛이 단순히 상호보완 역할만 해서는 나타날 수 없는 결과였다. 장 교수는 유체 내에서 진동으로 공기 방울이 생기는 공동현상(Cavitation)에서 답을 찾아냈다. 초음파를 조사하면 조직에서 진동이 일어나고 공기 방울이 만들어진다. 이 공기 방울에서는 산란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빛 ...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어렵다. doi: 10.26076/2490-3w55 한 방울에 8년, 세·젤·오래 걸린 연구 가장 끈적끈적한 유체인 피치의 점성은 얼마나 될까. 피치는 석탄, 목재 등 유기물질에서 타르를 증류해 얻은 흑색의 탄소질 고형 잔류물로, 도로 위에 깔린 아스팔트 성분 중 하나다. 1927년 토머스 파넬 호주 퀸즐랜드대 교수팀은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근무하면서 마나베 교수와 짧은 인연을 맺은 바 있다. 그가 근무하던 지구물리유체역학연구소(GFDL)에서는 일주일에 한 번씩 점심시간에 세미나를 열곤 했다. 필자 또한 세미나에 참석하곤 했는데, 마나베 교수도 이따금 세미나를 듣고 질문을 했다. 수십 년 만에 GFDL을 방문한 연사들은 마나베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