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산암
이토
페이드아우트
화산암층
d라이브러리
"
용암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아메리카 대륙판이 서로 떨어져 나갈 때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어요. 판 아래에 있던
용암
이 지표면으로 올라오면서 돔 형태의 바위층을 만들었고 풍화작용으로 인한 침식이 계속돼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는 거지요. 이는 가장 유력한 가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답니다. 리차트 구조의 형성 원인은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마그마는 점성이 높아 내부에 가스를 계속 축적한다. 그래서 지상으로 분출되면
용암
이 품고 있던 가스가 한꺼번에 터져 나오면서 화산재와 돌덩이(화산암)가 돼 한꺼번에 퍼붓는다.유문암질 마그마가 폭발하듯 분출하면 가장 먼저 화산 사면을 따라 흐르는 화산재인 화쇄류가 퍼진다. 그리고 유리 ... ...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5호
지나친 주상절리는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화산지형이에요. 땅 위로 흘러나온
용암
이 빠르게 식으며 굳다가, 균열이 생기며 여러 개의 돌기둥으로 쪼개져 생긴 지형이지요.”문경수 탐험가의 설명을 들으며 10여 분을 더 항해하자 3개의 해안동굴로 이루어진 월평동굴이 나타났어요. ... ...
[과학뉴스]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그 결과 나일강 북아프리카 지각 아래를 흐르는 맨틀이 열기둥(플룸)을 형성해
용암
이 분출되면서 나일강 상류의 에티오피아 고지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기둥에 의해 나일강 유역의 맨틀이 3000만 년간 계속해서 에티오피아 고지대로 흘러 들어가는 흐름을 보인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 ...
[통합과학] 40인의 도둑이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그런데 이 지역에는 화산 때문에 만들어진 동굴 거주지가 많았어요. 다만 제주도처럼
용암
이 만든 동굴이 아니라, 화산재가 만든 응회암 지대 아래 지어진 인공 동굴이지요.응회암은 화산이 폭발하며 쌓인 화산재가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이에요. 화산이 폭발하면 뜨거운 화산 가스와 함께 지름이 ... ...
세계 첫 민간 달 착륙선 '베레시트' 실패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달 착륙은 궤도 진입보다 한 단계 더 어렵다. 베레시트는 인류가 달에 첫 발을 디뎠던
용암
평원인 ‘고요의 바다’에 착륙할 예정이었다. 베레시트는 ‘소프트 랜딩’을 목표로 삼았지만, 애초에 목적지에 정확히 착륙할 용도로 개발된 탐사선은 아니었다. 앞서 언급했듯 비용을 최소화 한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또한 백악기에서 고제3기로 넘어가는 시기 이후에 전체 부피 추정치의 절반이 넘는
용암
이 분출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소행성 충돌이 데칸 화산활동을 더 촉진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당시의 기온 자료와 비교해 데칸 화산폭발 이전에 대기 중으로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묻혀 어두운 현무암질의 넓고 편평한 지대가 됐다. 하지만 달 뒷면의 크레이터에는
용암
이 적게 흘렀고, 그 결과 크레이터 발생 당시의 초기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창어 4호가 착륙한 폰 카르만 크레이터는 남극-에이트켄 크레이터라는 더 큰 크레이터 내에 있는데, 남극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이용해 달 전체의 3D 지도를 완성했다. 그 과정에서 32억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용암
의 흔적도 찾아냈다. ● 2008. 10. 22 직접적인 물의 증거를 찾다검게 보이는 분화구에 초록색 점들이 밀집해 있다. 인도의 첫 달 탐사선 ‘찬드라얀(Chandrayaan) 1호’가 찾아낸 얼음의 위치다. 인도우주연구기구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 축제는 로봇도 춤추게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원리와 같답니다. 기자단은 이외에도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의 부스에서
용암
램프를 만들고 3D프린팅 펜으로 3차원 인형을 만드는 등 유익한 시간을 보냈어요. 한시아 기자는 “3D프린팅 펜으로 3차원 모형을 어떻게 만드는지 알 수 있게 되어 좋았다”고 말했지요. 대전 사이언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