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부"(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39:화성에서 일 년 살기] 영화처럼 화성에서 감자를 키우기란 쉽지 않지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36.5℃보다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어 버린다. 우리가 흔히 아는 물의 끓는점 100℃는 외부 압력이 1기압(101.325kPa)일 경우라는 전제조건이 붙는다. 화성의 경우 평균 대기압이 0.636kPa로, 이 기압 조건에서 물은 영하 5℃ 정도에서 끓는다. 때문에 인간은 화성 표면에서 맨 몸으로 생존할 수 없다. 식물도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걸린 거죠.” 11월 1일 오후 7시 대전 KAIST 창의과학관에서 학생 10명이 병, 사고와 같이 외부 요인으로 좌절한 순간부터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실패한 사례까지 발표하는 ‘KAIST 실패학회: 망한 과제 자랑대회’가 열렸습니다. 청중은 실패를 공유한 학생들의 용기와 너무나도 이해 가는 상황에 크게 ...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큐티클층이 더 많이 존재한다는 것은, 털을 만드는 모낭에서 더 많은 세포를 만들어 외부로부터 보호한다는 뜻”이라며 “머리카락에 비해 음모는 오줌과 같은 환경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큐티클층이 더 두꺼워졌을 것”이라고 추론했다. 신 교수는 ‘오줌과 같은 환경으로부터 털을 보호하기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로봇을 움직이게 하는 원천은 로봇에 실린 산화철 가루인 자성나노입자(MNP)다. 덕분에 외부 자기장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자성나노입자가 몸속에 남을 경우 독성을 띨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에 연구팀은 몸속에서 자성나노입자를 다시 회수하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약물을 전달하는 의료용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하지만 열수구● 주변엔 다양한 생명체가 살아 숨쉬고 있죠. 두꺼운 얼음층으로 덮여 외부와 완벽히 차단된 외계 바다에도 생명체가 숨어 있진 않을까요? 주스, 얼음 위성에서 생명체 가능성 찾는다! ‘골디락스 존’은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 우주 영역이에요. 초기에는 태양 같은 ...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투입했을 때 염증 사이토카인 발현이 낮아지고 단백질 발현 효율이 증가했다. 이는 외부 RNA에 의해 유도되는 선천면역반응을 회피하고 필요한 단백질, 즉 백신 면역반응을 유도해야 하는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원리를 발견한 커리코 부사장과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폐 발달’에 좀 더 초점을 맞췄습니다. 새끼 양의 폐에 양수와 유사한 액체를 넣어 외부와의 압력을 유지하는 시스템입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현재 의료 시스템에서는 폐가 덜 발달한 새끼 양에게 기계적인 호흡을 시키는데, 이 경우 자칫 폐가 손상되거나 폐 발달을 저해하는 경우가 ... ...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구현하고 여러 개의 큐비트를 원하는대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큐비트는 외부 환경에 매우 예민해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지금까지는 매우 낮은 온도에서 큐비트를 만드는 ‘초전도’, 인공적으로 양자점을 만들어 마이크로파로 제어하는 ‘반도체양자점’, 원자의 이온을 레이저로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카메라로 대소변을 찍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었다. 사람들이 변기에 앉으면 엉덩이가 외부의 빛을 가려 내부가 어두워졌기 때문이다. 변기 내부에서 엉덩이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셈이다. “저희가 변기 내부에 LED 조명을 설치한 이유죠.” 박 박사가 영롱한 푸른빛의 스마트 변기를 가리키며 말했다 ... ...
- [이참결 독자가 쏘아올린 기사] 우주 팽창의 중심은 왜 존재하지 않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처럼 우주는 특별한 중심 없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다. 그 결과 외부 은하가 우리에게서 멀어지므로 적색 편이가 나타난다.” 우주는 풍선과 다릅니다! 그러게요, 우리는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팽창이 어떻게 이뤄지는지는 잘 몰랐습니다. oh my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