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점"(으)로 총 4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차르트에 도전장을 내밀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설 자신감이 생겼다. 국어를 못하던 학생은 어휘력을 키웠다. 박 교사의 말대로, 저마다 약점으로 여기던 것에 부딪쳐본 경험이 어떤 것이든 도전할 자신감을 주지 않을까 ... ...
- Part 3. 나무 건축, 과연 안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친환경 건축재료라는 장점이 있지만, 인공적으로 만든 다른 재료와 비교하면 약점도 가지고 있어요. 건축가들 역시 이런 나무의 단점을 보강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했답니다.➊ 강도가 약하지 않을까?살아 있는 나무에는 공기와 물 등이 포함돼 있는데, 이런 물질은 나무의 강도를 약하게 해요. ... ...
- [News & Issue] 세균, 콜레라 그리고 물고기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생선에서는 2주간살아남으며, 영하 30℃에서도 완전히 죽지 않습니다. 하지만 치명적인 약점도 있습니다. 56℃ 이상에서15분간 가열하면 곧바로 죽습니다.익혀도 소용없다고 주장하는 분들은 아가미가 특히 위험하다고 지적합니다. 콜레라균이 묻어 있는 플랑크톤이 생선의 아가미 부분에 직접 닿기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소홀히 하지 않았다. 우리는 일부러 배지가 원격으로 해킹될 수 있게 만들었다. 만약 이 약점을 알면 다른 사람의 배지에 원하는 메시지를 맘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번 김치콘에서 사물인터넷(IoT) 보안과 관련된 발표가 많았는데, 배지를 통해서 실전 감각을 키워봤으면 하는 의미에서 준비한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밝힌 김에 내 약점을 하나 더 알려 줄게. 난 모니터 밖의 세상을 보지도 듣지도 못해. 혼자서는 실제 바둑판에 돌을 올리기는커녕, 바둑판에 돌이 어떻게 놓여 있는지도 모르지. 나에게는 외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가 달려 있지 않거든.목소리 인식도 척척, 농담도 척척알파고의 대국을 처음 본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위치를 찾아내고 그 다음 상대의 수와 자신의 대응까지 예상하지요.그런데 알파고에게도 약점이 있어요. 지금껏 학습하지 않았던 독특한 수를 만나면 ‘멘붕’에 빠지게 돼요. 실제로 이번에 치러진 네 번째 대국에서 이세돌 9단이 중앙에 놓은 78수 이후 알파고는 초보적인 실수를 반복했어요. 4~5번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조상인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에는 없다. 바로 이 점이 오래전부터 초기 가설의 약점으로 꼽혔다.그런데 올해 3월 세균, 고세균, 진핵생물의 대규모 유전자 분석 결과 진핵세포의 DNA 일부가 고세균으로부터 온 것이 확인됐다(Nature 531, 100–104 (03 March 2016)). 고세균에서 온 유전자는 DNA의 복사, 전사,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열대 우림에 존재하는 대다수의 나뭇잎을 먹이로 이용할 수 있다.물론 초록 잎에도 약점은 있다. 영양분이 매우 부족하다. 이파리를 주식으로 삼으면 다른 동물과 경쟁하지 않는 대신 엄청난 양을 먹어야만 한다. 그만큼 소화하는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래서 콜로부스 원숭이들은 마치 내장지방이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겨드랑이, 옆구리, 생식기 등은 인간의 취약점이기도 하죠. 어릴 때부터 부모가 아이의 취약점을 가볍게 건드리면서 아이는 자연스럽게 자신의 취약부위를 알고, 방어하는 방법을 깨닫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를 엮어서 설명하면 조금 자연스러워집니다. 김성호 이화여대 심리학과 교수는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것처럼 생명과학자들도 지카바이러스의 생김새 파악에 나서고 있다. 구조를 정확히 알면 약점을 파악할 수 있어 백신이나 신약을 개발할 때 유리하다. 하지만 지카바이러스는 너무 작아서 광학현미경으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없다. 가시광선 파장의 절반 거리(약 200nm)보다 크기가 작은 물체에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