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후위기 대응책 뒷전, 최우선 과제로 끌어올리고파”_조천호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개인의 일상이 나란히 존재하죠. 하지만 기후위기가 우리의 일상과 그저 함께 존재하면 안 됩니다. 제도의 개선이 아닌 개혁으로만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에너지 전환은 필수적이고 이는 우리 삶의 방식과 구조를 바꾸는 일입니다. 개혁과 변혁을 설득하는 ... ...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유한한 대상에 사용했던 수학 공식을 바로 적용할 수 없어요. 공식에 항상 적용이 안 된다는 것은 아니고, 적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알아보고 써야 한다는 거예요. 즉 적용할 수 있는 상황에 관한 별도의 증명이 필요하지요. 수학자는 이 모든 것들을 세밀하게 증명해요. 만화에 나오는 ...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한국 정치의 ‘특이점’이라고 생각합니다. 2023년 R&D 예산 삭감 발표는 한국의 역사 안에서 과학기술 분야가 미끄러지게 만들었죠.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과 체제 개선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결과물을 내보이며 일을 하는 것이 익숙한 제가 국민들의 한 발짝 앞에서 그 역할을 하겠습니다 ... ...
- [숫자로 보는 뉴스] 해시계 읽는 법 알아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위치에 따라 양옆으로 돌릴 수 있어요. 영침의 그림자가 아래쪽 반구에 있는 길쭉한 구멍 안으로 들어가도록 위치를 맞춘 다음, 위쪽 영침의 끝이 가리키는 곳의 시각을 읽어요. 국립중앙과학관과 국립고궁박물관이 함께 연구해 원구일영을 복원했지요 ... ...
- 전략의 신 3. 철옹성 같은 수비벽 수비 시프트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경기 일정을 바탕으로 컴퓨터를 이용해 외판원 문제를 계산한 것이다. 그 결과 24.8일 동안 약 4989km를 이동하는 경로가 최적의 답으로 나왔다. 다음과 같은 경로로 이동하면 최소 비용으로 모든 경기장을 방문할 수 있다 ...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25일 미국 애리조나주에 있는 투산 일렉트릭파크 야구장에서 비둘기가 야구공에 맞아서 안타깝게도 세상을 떠났다. 비둘기를 맞춘 랜디 존슨 선수의 별명은 ‘공포의 좌완 파이어볼러’로, 최대 160km/h의 구속으로 공을 내리꽂는 것이 특징이었다. 존슨 선수가 평소처럼 154km/h로 던진 공이 우연히 ... ...
- 브롤스타즈 반사의 법칙 따라 총 쏘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있다. 또 모드마다 다른 전략을 써야 한다. 예를 들어 보석을 10개 이상 모은 뒤 15초 동안 잃어버리지 않고 버텨야 이기는 ‘젬 그랩’ 모드는 보석을 모으는 브롤러와 공격과 수비를 하는 브롤러로 역할을 구분해야 유리하다. 반사의 법칙을 활용해 총을 잘 쏘는 능력을 갖추고 캐릭터, 모드, ... ...
- [에디터 노트] 도파민도 인스턴트 시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재밌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매일 한 페이지씩 책을 읽으며 노출을 늘리면, 뇌도 그 안에서 즐거움을 찾아내려 조금씩 변합니다. 내 클릭 하나하나가 유튜브 영상 추천 알고리즘을 바꿔나가듯, 내게 노출된 자극 하나하나가 내 뇌 속의 보상회로를 바꿔나갑니다. 그런 의미에서 3월호 과학동아는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창출하니 얼핏 모두가 행복한 상황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에 따르는 부작용을 간과해선 안 된다. 사용자가 알게 모르게 설계돼있는 중독을 유발하는 디자인에 대해 이해하고, 건강한 소셜 미디어가 될 수 있도록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 필자소개윤재영. 홍익대 디자인학부 교수. 미국 ... ...
-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보였던 일상의 다양한 구조물이 아주 작은 요소들에 의존하는 원리를, 독자가 그동안 놓친 볼트와 너트들을 하나하나 풀고 조이듯 보여준다. ‘볼트와 너트, 세상을 만든 작지만 위대한 것들의 과학’은 못의 발명이 현대의 고층 건물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설명한다. 이것은 공학이 인류의 생활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