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d라이브러리
"
쌍
"(으)로 총 1,17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우리는 자폐를 모른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쓰이진 않지만, 일부는 유전자가 발현될지 말지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30억
쌍
의 염기서열로 이뤄진 유전체 중 유전자는 2%도 안 되고, 나머지는 모두 ‘비암호화 영역’이 차지하고 있다.최근 이정호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팀은 이 영역에 주목했다. 자폐와 관련된 유전 변이가 비암호화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대수기하학은 1차 다항식으로 직선이나 평면을 나타내고, 2차 다항식으로 타원이나
쌍
곡선을 분석하는 것처럼 대수학을 통해 기하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허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조합론의 오래된 난제를 다수 해결해 ‘조합 대수기하학’의 아이콘이 됐지요. 허 교수의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GPY 체 법에서 사용된 함수를 개선함으로써 연속한 두 소수의 간격이 600 이하인 소수
쌍
이 무한히 많음을 증명했습니다. 이후 이 아이디어는 폴리매스 프로젝트에 적용돼 연속한 두 소수의 간격이 246 이하인 경우까지 증명됐습니다. 메이나드 교수는 앞선 문제와 정반대인 pn+1-pn이 큰 경우도 ... ...
[활동지] 그래프 채색 문제부터 케플러의 추측까지, 필즈상 수상자 연구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교수가 참여한 폴리매스 프로젝트에서는 연속한 두 소수의 간격이 246 이하인 소수
쌍
은 무수히 많다는 것을 밝혔어요. 구를 최대한 많이 쌓자!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는 고차원에서 ‘케플러의 추측’을 해결했어요. 1611년 독일 수학자 요하네스 케플러는 3차원에서 구를 최대한 많이 쌓으려면 ... ...
한국과 인연이 깊은 수학자부터 폴리매스 수학자까지! 별별 필즈상 수상자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2014년 폴리매스 프로젝트 8번 문제에 참여해 연속하는 두 소수의 간격이 246 이하인 소수
쌍
이 무수히 많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1998 필즈상을 수상한 티머시 가워스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가 2009년에 만들었습니다. 그는 ‘수학에서 대규모 공동연구가 가능할까’라는 제목의 ... ...
[릴라바티상] 3D 수학 애니메이션으로 수학의 대중화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뚜껑에 길다란 직선 모양의 구멍을 내고 감자칩이 깨지지 않도록 통과시킬 수 있을까요?
쌍
곡포물면은 직선의 연속적인 움직임으로 면을 이뤄지기 때문에 감자칩을 돌려 가며 넣어주면 깨지지 않고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답니다. [소시지로 삼각함수를 그리자!] 집에 있는 소시지를 이용해 ... ...
[주니어 폴리매스] 폴리매스 어셈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얼마 지나지 않아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통해 연속한 두 소수의 차가 246 이하인 소수
쌍
이 무수히 많음을 증명했어요. 여러분이 나중에 소수에 관한 여러 난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며, 소수에 관한 유명한 정리 하나를 증명해 보려고 해요. 문제를 순서대로 차근차근 풀어 보세요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지만요. 아마도 상당한 세월이 흐른 후 또 다른 천재에 의해서
쌍
둥이 소수 추측은 해결될 것입니다. 메이나드 교수에 대한 글을 쓰려고 했음에도 장 교수의 연구에 대해 말이 길어졌습니다. 언제나 가장 먼저 접한 연구 결과가 짜릿하고 놀랍기 때문이지요. 그렇다고 ... ...
[필즈상 인터뷰 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후에 나와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이때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활용했다고요? 네! 맞아요. 소수의 간격을 2까지 줄이면
쌍
둥이 소수 추측을 해결할 수 있어요. 600보다 줄이기 위해 노력했지요 그런데 혼자서 할 수 없었어요. 그래서 대규모 수학 공동연구 프로젝트인 ‘폴리매스 프로젝트’를 활용하기로 마음먹었어요. 일반적인 ... ...
0.05mm로 그린 꽃과 새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빈틈없이 꽃과 새가 새겨져 있었다. 일명 화조도. 8세기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하던 단화
쌍
조문을 금박에 새긴 것으로 동궁과 월지 건물의 사용기간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화조도를 새긴 금박은 무게가 0.3g 남짓이었다. 고도의 정련 기술을 바탕으로 순도 99.99%의 순금을 0.04mm 두께로 얇게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