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심리"(으)로 총 1,8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생각의 열쇠로 연 내면 세계의 문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유령’이라 비판했다.세계에는 물리적인 것만 존재할 뿐이고, 마음은 이 물리적인 것이 심리학적인 행태로 환원된 형태라는 게 라일의 주장이다. 라일에게 의식은 그저 뇌가 작용하는 방식을 묘사하는 단어일 뿐이다. 이원론이라는 대세를 허물지는 못했지만, 최근에는 라일의 관점을 받아들이는 ... ...
- [JOB터뷰] 모두가 진실해지는 이곳,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김희송 법심리실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이곳에선 사람을 상대하고 심리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주로 심리학, 사회학, 범죄학 등의 인문학을 공부하고 옵니다. 인문학뿐만 아니라 이과 지식도 물론 중요합니다. 검사 기법이 발달하면서 코딩, 데이터 분석 등 기술적인 이해도도 필요하거든요. 하지만 무엇보다 사람을 ... ...
- 어르신, 키오스크 왜 못 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사용할 때 점원을 통하는 것보다 복잡하고 많은 절차를 거치도록 설계됐다. 미국의 인지심리학자 조지 밀러에 따르면 사람이 한 번에 기억할 수 있는 정보는 평균 7개, 개인에 따른 편차를 고려해도 5~9개다(밀러의 법칙). 하지만 이 능력도 노화에 따라서 자연히 감소하게 된다. 유 교수는 “밀러의 ... ...
- 점술에도 미래가 있을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인상을 받았기 때문일 것이다.이는 ‘포러 효과’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 1948년 미국 심리학자 버트넘 포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 검사를 시행했다. 하지만 검사는 사실 거짓이었고, 포러는 모두에게 똑같은 분석 결과를 보여줬다. “당신은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좋아하고 존경하기를 ...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한 편으로 그의 심리 상태는 매우 부정적이고 위험한 단계까지 바뀌어 있었다. 그에게 심리 치료를 받으라고, 계속 이대로라면 함께 일하기 어렵다고 강력하게 권했지만 듣지 않았던 것이 지난달의 일이었다. 죽음도 우울도 전염성이 강했고, 특히 공감력이 강한 사람은 더욱더 깊은 우울감에 ... ...
- [이달의 필수경제] 전쟁통에 환율이 오르는 이유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정세 속에서 자산의 실질가치 하락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자산’을 보유하려는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흔히 안전자산으로는 금, 은, 미국 달러 등이 있습니다. 이때 미국 달러가 안전자산인 이유는 ‘기축(key)통화’이기 때문이죠. 기축통화는 세계 경제의 토대가 되는 중심 화폐를 ... ...
- [논문탐독] 서로의 몸을 이해하다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먼저 꺼낸 사례는 20세기에 동물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던 말 ‘한스’를 관찰한 독일의 심리학자 오스카 풍스트의 연구입니다. 한스는 다른 말과 달리 특별한 능력이 있었습니다. 바로 곱하기와 나누기 같은 간단한 산수를 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제곱근을 구하고, 특정 색의 물건 수나 음악 속 ... ...
- 뇌과학으로 본 '마기꾼' 효과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정도로 싫어할 때 활성화되기도 한다. 이를 두고 연구자들은 아름다움에 대한 판단을 심리학의 감정 평가 이론(Emotional Appraisal Theory)으로 설명한다. 우리가 무언가를 아름답다고 느낄 때는 뇌가 본능적으로 “이것은 나에게 좋은 것인가? 나쁜 것인가?”를 묻고 판단한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 ...
- [가상 인터뷰] 2배속으로 강의를 들어도 학습 결과가 같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영상을 빠르게 보면 학습 효과가 떨어질 거라 우려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우리 학교 심리학과 알란 카스텔 교수는 배속재생이 과연 학습 효과를 해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231명의 재학생과 함께 실험을 진행했어요. 어떻게 학습 효과를 비교했나요?우선 연구팀은 역사와 부동산에 대한 2편의 강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오늘도 알고리즘이 나를 멋진 신세계로 이끌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실제로 대형마트나 백화점에서는 고객들이 물건을 더 많이 사도록 유도하기 위해 심리학을 이용하고 고객이 남긴 빅데이터를 분석해 물건을 진열한다고 알려졌어요. 그런데 놀랍게도 디지털 세상에서도 이런 일이 벌어져요. 유튜브를 한번 떠올려 보세요. 유튜브 추천 영상은 어떻게 된 일인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