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발
개척
d라이브러리
"
실용화
"(으)로 총 914건 검색되었습니다.
"SCV good to go, Sir"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대회는 세계 각국에서 18개 팀이 참여해 자웅을 겨뤘다.사실 이런 샘플채취 로봇은 이미
실용화
단계다. 2004년 화성에 도착해 10년째 탐사 활동을 벌이고 있는 NASA의 ‘오퍼튜니티’ 역시 샘플채취 기능을 갖고 있다. 오퍼튜니티는 어깨, 팔꿈치, 손목 등 관절 3개로 이뤄진 로봇팔로 토양을 채취해 ... ...
인텔 ISEF2014 한국대표 동행기 “도전정신은 우리가 세계 최고”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효율이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비용도 낮아지는 만큼 파도가 센 동해바다에서
실용화
되길 희망한다”고 설명했다.민족사관학교 3학년 이지나 양, 제동일 군은 하수처리장에서 분리한 박테리아로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하는 데 성공해 특별상을 3개나 수상했다. 제 군은 “비슷한 선행연구가 여럿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그리스와 같이 학문적 발전을 이루기보다는 그리스가 남겨준 여러 수학과 과학 이론을
실용화
하는 수준에 그쳤다는 점을 잘 드러낸 말이다. 영국의 수학자 하디는 “그리스의 비극 시인 아이스킬로스는 잊혀져도 아르키메데스는 기억될 것이다. 왜냐하면 언어는 사라져도 수학적 아이디어는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이 기술이 실제로 쓰이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정준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로봇연구
실용화
그 룹 연구원은 “뇌파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할 때 외부의 잡음(노이즈)이 섞여 들어가는 점이 가장 어렵다”고 말 했다. 일상 환경에서 발생하는 복잡하고 소란스러운 신 호들이 로봇슈트를 제어하는 데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 위치를 드론에 전송할 수 있다.]드론 기술은 이미 군사적으로는
실용화
단계에 들어섰다. 미국 허니웰이 개발한 ‘대단위 전투지원 비행로봇’이 대표적이다. 하늘 위에 떠서 장애물을 알아서 피해 다니고, 사방을 카메라로 살펴보며, 필요하면 작은 물건을 실어 나른다.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중국에는 1GW 규모의 HVDC 설비가 있다.국내에서도 LS산전이 제주도에 HVDC 실증 단지를 짓고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제주도가 유일하게 진도와 해남에서 연결된 해저 직류 케이블로 전력 일부를 받고 있다. 장길수 교수는 “직류 송전망은 구축한다고 끝이 아니라 교류 계통과 함께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때는 물론 줄기세포를 연구하면서 목표로 삼았던 것은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용화
기술을 개발하자는 것이었다. 기초연구자에게는 어울리지 않겠지만, 응용과학자에게는 내가 하고 있는 일이 나중에 어떻게 쓰일 수 있을 것인지는 항상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정 교수의 지론이다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2배를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재충전을 반복하면 전압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해야
실용화
가 가능하다.리튬이온을 이용한 또 다른 차기 배터리로는 리튬공기전지가 있다. 전이금속 대신 공기를 양극 재료로 이용해 무게가 가벼워서 에너지 밀도가 높다. 하지만 리튬과 산소 사이의 강한 결합력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진풍’을 개발했다. 당시에는 초보적인 걸음걸이에 그쳤지만 지금은 중심잡기 기능이
실용화
가능한 수준으로 개발됐다. 진풍은 키 120cm, 무게 120kg으로 최대 시속 4∼5km의 속도를 낼 수 있다. 60kg이 넘는 짐을 싣고 스키장의 상급자 슬로프에 해당하는 30도 경사를 걸어 올라갈 수 있다. 조정산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윤리적인 문제는 여전히 인간 복제 배아줄기세포의
실용화
를 가로막는 걸림돌이다. 환자 한 명을 치료하는 데 수십 개의 난자를 써야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사용하는 난자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고 해도 난자를 써야 한다는 사실 자체는 달라지지 않는다. 종교계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