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트레이닝
수습
연습
훈련
연마
견습
훈육
d라이브러리
"
수련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대한민국 의사되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끝낸 뒤 적성에 맞지 않아서 생명과학과로 전과한 학생도 있다. 심지어 의대를 졸업하고
수련
의까지 끝낸 제자가 행복하지 않다며 다른 직업을 찾고 있기도 하다. 의사는 노력만으로 적응되는 직업이 아님을 알 수 있다.의사의 덕목은 히포크라테스의 선서에 잘 언급돼있다. 인류에 대한 봉사를 ... ...
화이트데이 솔로 탈출을 위한 사랑방정식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거리마다 사탕바구니를 든 커플들로 넘쳐나는 화이트데이를 앞두고 커플이 되는 것이 인생 최대 목표인 모태솔로 4인방이 수학동아를 찾았다. 별걸 다 연 ... 주고받는 경우에는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의대졸업자와
수련
병원을 짝지을 때 이 방법을 사용한다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폐와 연결돼 있어, 표면적을 넓혀 숨을 쉬는 효율도 높인다.식물 가운데 코코넛(야자)과
수련
, 기생식물인 필로덴드론(Philodendron cannifolium) 등은 씨앗을 쿠션에 넣어 널리 퍼뜨린다. 어떤 씨앗은 수~수십km를 흘러 바다를 건너기도 한다. 열매 안에 텅 빈 공간이 있어 크고 무거운 열매라도 물 위에 둥실 ... ...
Intro. 마음을 리모델링 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년 동안 종교인들의 자기
수련
방법이었던 명상이 최근 우리 곁에 다가왔다. 과학자와 의학자들이 명상의 비밀을 밝혀내면서 일반인에 적용하는 방법까지 개발했기 때문이다. 명상은 단순히 눈을 감고 마음을 가라앉히는 과정이 아니라 뇌의 활동을 조절함으로써 그 구조까지도 바꿔놓을 수 있는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피험자들은 그 전에 불교에 관해 전혀 알지 못한 명상 초보자들이었다.마음챙김 명상을
수련
하기 전 이들은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불평했고 실제 감정 결정점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있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끝날 무렵 이들의 감정은 긍정적인 영역인 왼쪽으로 옮겨갔고 동시에 기분도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감마파가 강해진다. 하지만 이런 수준까지 가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집중적으로
수련
해야 한다.명상과 같은 깊은 의식 상태를 유도하는 뉴로피드백 방법은 2가지로 ‘알파/세타 뉴로피드백’과 ‘감마 뉴로피드백’이 있다. 1970년대 엘머그린 박사는 다년간 인도 요기들의 뇌파를 연구하면서 깊은 ... ...
눈 크게 뜨고 보세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작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빈센트 반고흐의 ‘해바라기’와 클로드 모네의 ‘
수련
’을 그리고 있다. 물론 돋보기안경을 쓰고 0000호 짜리 붓을 들고 말이다!이외에도 세상에는 지우개만 한 어항부터 손톱만 한 바이올린까지, 엄청 작고 기발한 작품들이 사람들을 즐겁게 하고 있다. 더 ... ...
최종병기 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깊은 무기다. 유교문화에서는 군자가 필수적으로 배워야 할 육례(六禮) 중 하나로서 심신
수련
의 방편이 되기도 했다.한국에서는 여성을 포함한 일반 백성들도 널리 사용하면서, ‘적중’, ‘목적’, ‘한량’, ‘효시’처럼 널리 쓰이는 언어 표현을 만들어 내는 데 기여했다. 세계사적 맥락에서 ... ...
앎의 기쁨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학생들이 중고등학교 생활에서 수학여행이나
수련
회를 갑니다. 가는 도중 아름다운 자연환경에 경이로워 합니다. 여러분이 본 아름다움은 어떤 것이 있었는지 떠올려보세요. 그 안에서 흥미로운 탐구 주제를 발견해봅시다. ※ 이 코너에서는 생활 속에서 탐구 주제를 찾아 연구하고 연구보고서를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삼국이 한강유역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싸움을 벌였던 역사의 현장이다. 광진청소년
수련
관에서 별을 보는 것은 어떨까. 3차원 우주영상과 별자리를 볼 수 있는 천체투영실 ‘별찬’, 60cm 대형망원경이 있는 원형돔 ‘별오름’이 있다. 몽촌토성은 백제 초기인 3세기경 만들어진 토성이다. 성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