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바닥"(으)로 총 4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담수담] 엔지니어, 개발자에 이어 천체사진가까지 직업을 바꿔도 수학은 항상 내 곁에!수학동아 l2021년 04호
- ° ÷ 24시간) 정도예요. 실제로 북극성을 중심으로 도는 별 사진을 찍을 때는 손을 쭉 뻗고 손바닥을 폅니다. 그러면 한 뼘이 15° 정도 된다는 것을 이용해서 별을 몇 시간 동안 촬영할지, 어떤 경로로 찍을지를 계획하죠. 요즘에는 천체투영관에서 보는 가상현실(VR) 영상도 만들고 있어요. 밤하늘을 ... ...
- [매스미디어] 듣도보도 못한 놈들의 우주 청소가 시작된다! 승리호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교수팀은 2020년 5월 로봇 손에 사용할 수 있는 인공피부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사람의 손바닥에 있는 피하지방층이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요인이라는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구멍이 여러 개 뚫린 라텍스와 실리콘을 사용해 인공피부에 피하지방층을 구현했다. 이 인공피부를 붙인 로봇 손은 ... ...
- 4만 5500년 전에도 인류는 그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듯했다.하지만 2014년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에서 역시 4만 년 전으로 연대가 밝혀진 손바닥 스텐실(물체를 대고 염료를 뿌려 윤곽을 그리는 그림 기법)이 발견되면서 ‘예술은 세계 곳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2018년에는 보르네오섬 동부 칼리만탄 지역 루방 제리지 ... ...
- [헥!헥!핵물리학자] 눈에도 안 보이고, 내 몸도 통과한다고? ‘유령입자’ 중성미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3화(7월 15일 자)에 나왔던 ‘뮤온’이라는 기본입자*를 기억하나요? 우주에서 쏟아져 양 손바닥을 1분에 약 200개씩 통과하지만, 우리는 전혀 느낄 수 없다고 설명했어요. 뮤온이 우리 몸을 이루는 물질과 반응하지 않고 통과해버리기 때문이지요.뮤온보다 반응을 하는 정도가 더 적어 ... ...
- [출동!기자단] 사탕 뺏기 게임의 승자는 누구? 달려라, 지니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지니로봇’의 이은승 대표가 웬 상자를 하나씩 내밀었어요. 상자를 뜯자 가장 먼저 손바닥 크기의 하얗고 네모난 블록이 보였어요. 바로 코딩로봇 ‘지니봇’이었어요.“지니봇은 코딩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코딩로봇이에요. 앞에 달린 코끼리 모양의 액세서리에 소리와 빛 등 다양한 센서를 ... ...
- [헥!헥! 핵물리학자] 흡사 입자 탐정 수사극? ‘검출기’ 속 입자의 흔적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1분에 평균 1개씩 지나요. 양 손바닥의 면적이 약 200cm2라면, 1분에 200개의 뮤온이 양 손바닥을 지나는 셈이지요. 하지만 사람은 뮤온이 몸을 통과했다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해요. 뮤온은 우리 몸을 이루는 입자와 거의 상호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우리 몸의 입장에서는 무척 다행이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북소리의 높낮이를 정하는 건 무엇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몸만큼 커다란 북을 쳤을 때와 손바닥만 한 북을 쳤을 때, 두 북소리의 높낮이가 다르단 사실, 알고 있나요?아마 커다란 북을 쳤을 때 더 굵고 낮은 소리가 날 거예요. 그건 커다란 북과 작은 북을 쳤을 때 공기가 떨리는 속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지요.북은 채로 때렸을 때 진동하는 막과 소리가 ...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쫙 펴서 갖다 대기만 하면 된다. 손목 부위에 위치한 진동자가 소리(진동)를 만들어 내면 손바닥에서부터 손가락 끝까지 진동이 전달되고, 이때 손가락 끝에서 만들어진 생체음향을 측정한다. 다섯 개 손가락 끝 부분에는 각각 마이크가 달려있어 생체음향을 측정한 뒤 이를 전기신호로 바꾸고, 이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말했어요. Q 액체 괴물은 액체인가요, 고체인가요? / 정유민 (yoominjung2010) 액체 괴물을 손바닥에 올린 뒤, 손가락을 쫙 펴 보세요. 마치 액체처럼 액체괴물이 손가락 사이사이로 흘러내릴 거예요. 그런데 흐르는 모습을 관찰해보면 매우 찐득하고 느릿한 게 액체와는 다른 느낌이에요. 실제로 액체 ... ...
- 부품의 세계를 탐험하다! 일렉트론 영웅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나섰답니다. 세 친구는 무사히 코딩 행성을 지켜낼 수 있을까요? 집채만 했던 컴퓨터가 손바닥 크기로! 1946년 미국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만든 초기 컴퓨터 에니악(ENIAC)은 길이 25m, 높이 2.5m로 그야말로 어마어마해요. 전자의 운동을 조절해 신호를 증폭하거나 바꾸는 진공관 1만 8000여 개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