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멸
첩
소산
실종
분산
분해
여자노예
d라이브러리
"
소실
"(으)로 총 208건 검색되었습니다.
통증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통증과 체성감각계를 공유하는 온도 감각이나 화학적 감각이라면 함께 감소하거나
소실
될 수 있지만,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남순이 맛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영화적 상상력에 기인한 설정이다.과학적 사실과 다른 작은 흠이 있지만 강풀은 치밀하게 설계한 현실적 배경을 그렸다.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경복궁 내부에 지으며 옆 자리로 옮겨졌다. 6.25전쟁 중에 상부의 목조건물이 또 한번
소실
된다. 1968년에 하부를 그대로 남겨두고 상단 건물만 어설프게 재현해 진정한 ‘문화재’라 부르기 어려웠다.위치는 원래 서 있던 자리에서 북쪽으로 11.2m, 동쪽으로 13.5m 떨어져 있었고 방향은 3.75° 틀어져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0.112초 만에 알파붕괴(헬륨 핵을 내놓는 반응)로 사라졌다. 한편 중성자 4개가
소실
되며 형성된 Uus-293(양성자 117개, 중성자 176개)은 5개를 관측했는데, 평균 0.021초 만에 알파붕괴로 사라졌다.이번 결과에 대해 독일 GSI 헬름홀츠센터의 지그루트 호프만 박사는 “원자핵 이론에 따르면 원자번호 114번을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탄수화물을 얻어냈기 때문”이라며 “장기적으로 봤을 때 단백질 위주의 식단은 근육
소실
이나 신장 기능 저하, 골다공증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반대로 많이 먹으면 다이어트가 된다고 알려진 음식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고추의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이다. 사람들은 흔히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듯 보이는 현상을 이용한 방법을 일점원근법이라고 합니다. 평행선이 모이는 점은
소실
점이라고 부르고요. 수학원리가 담긴 원근법을 이용해 그린 그림은 평면을 벗어나지 않지만 우리 눈에는 입체로 보입니다.그러면 3차원 공간에서 4차원 물체를 보는 것도 가능할까요? 3차원의 세계에 살고 있는 ... ...
생체전자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치료하는 심부뇌자극(DBS) 시술법이 있다. 파킨슨병은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소실
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몸이 떨리고 경직돼 정상적인 움직임을 하기 힘들다. 심부뇌자극 시술법은 뇌 구조물에 가는 전극을 삽입한 후 전기 자극을 가해 파킨슨병 환자의 운동 장애를 치료한다.이외에 ... ...
나이를 거꾸로 먹어가는 한 남자의 인생극장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그곳에서 겉으로는 아이처럼 젊어지지만 속으로는 심한 치매에 시달린다.치매는 기억력
소실
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1972년 캐나다의 심리학자 엔들 털빙은 장기기억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진술 기억’과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절차 기억’으로 나누었다. 진술 기억은 다시 시간, ... ...
숭례문 화재 1주년 숭례문 부활의 현장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미리 복원을 마친다.제3단계2010년 1월~2012년 12월숭례문 복구 공사를 시행한다. 화재로
소실
된 부분은 물론 일제강점기 때 훼손된 좌우 성곽도 함께 복구한다.숭례문복구의열쇠는과학!설마 숭례문 현장이 한산하다고 해서 복구 작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는 친구가 있는 건 아니겠죠? 복구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현대 천문학의 귀중한 보배가 됐을 테지만,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조선 전기의 기록은
소실
됐고, 지금은 조선 후기의 일부 기록만 연세대 도서관에 보관돼 있다.1급 비상 천변, 발견 즉시 보고관상감 천문학자들의 근무 규정은 어땠을까. 세 명의 관원이 한 조가 돼 3일 동안 근무하고 3일이 지나면 ... ...
[물리]변압기가 작동하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저항 R에 발생하는 줄열로 손실되는 전력은 Ploss=I2R이므로 전류가 작을수록 송전 중에
소실
되는 전력이 작아진다. 입력부와 출력부의 전압은 코일이 감긴 횟수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V1/N1= V2/N2 ∴V2=V1 N2/ N1 입력전압 V1 보다 높은 출력전압 V2 를 얻기 위해서는 출력 쪽 코일이 감긴 횟수가 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