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선"(으)로 총 3,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꿀꺽! 수학 한 입] 한 번의 실수도 안 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펼친 다음, 평균★ 점수를 계산해 순위를 결정해요.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 여서정 선수는 1차 시기에 14.433점, 2차 시기에 14.200점을 기록해 1위가 되었어요 ... ...
- [기획] 로봇, 지휘자로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오케스트라 무대가 있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최초였습니다. 공연이 시작되자, 무대에 선 인간형 로봇 에버 6가 어깨와 팔꿈치, 손목 관절을 활용해 지휘봉을 부드럽게 휘둘렀어요. 몽골의 작곡가 비얌바수렌 샤라브의 ‘깨어난 초원’, 만다흐빌레그 비르바 작곡의 ‘말발굽 소리’ 두 곡을 에버 ... ...
- 무궁화 넌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태양 빛과 같은 붉은 무늬를 ‘단심’이라고 합니다. 단심에서 삐죽삐죽 튀어나온 선을 ‘방사맥’이라고 하지요. 무궁화는 주로 7월에서 10월 사이 꽃을 펴요. 4개월 동안 한 그루의 나무가 약 3000송이의 꽃을 매일 연달아 피우지요. 한 그루 안에서 여러 송이의 꽃이 동시에 피기도 해요. 30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먹지 말고 감으세요! 옥수수 추출물로 샴푸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말이죠. 2012년 미국 시카고대학교 스콧 와이투카이티스 연구팀은 슬로우모션 카메라와 X선 이미지로 옥수수 전분 반죽을 관찰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반죽에 빠르게 힘을 가하면 현탁액●인 옥수수 전분 반죽 속에서 물은 빠르게 흘러 나가고 전분 입자는 천천히 서로 엉기면서 딱딱하게 ... ...
- 나도 될 수 있어! 모자 디자이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갑분스가 모자 경연 대회에 나가는 날이라, 오늘 하루만 여러분에게 모자 가게 ‘모자라스’를 맡겼어요. 함께 멋진 모자를 만들어 볼까요? 알록달록 천 색칠하기 천을 ... 바꿔주면 서로 모자를 바꿔 쓸수있어요.머리핀에적힌분수를보고,어떤모자를쓸수있는지 선으로 연결해 보세요 ... ...
- [메타버스 여행법] 3D 아이템을 만들어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3D는 가로, 세로, 높이가 있는 3차원 입체를 뜻해요. 종이처럼 평평한 평면은 2차원, 선은 1차원이죠. 제페토의 3D 아이템은 3D 공간에 가상의 입체적인 물체를 만드는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해 만들 수 있어요. 초보자들이 주로 쓰는 2D 템플릿 아이템은 도면 위에 이미지만 그리면 아이템을 ... ...
- [똥손 수학체험실] 분수로 만드는 바닷속 세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색종이가 있어요. 노란 물고기를 만드는 데 필요한 만큼 색종이를 자르려고 해요. 자르는 선을 표시하기 위해 색종이를 접었지요.색종이를 반으로 한 번 접었다 펴면 같은 크기의 칸 두 개로 나뉘어요. 이 칸이 전체의 얼마만큼인지 친구에게 설명할 때, 분수로 나타내면 편리해요. 분수는 어떤 것을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등 질문을 쏟아냈습니다. 관계자는 “세라믹은 온도에 따른 모양의 변형이 없고, 우주선에 쓰이는 텅스텐보다 단가가 더 저렴하고, 무게도 가볍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수차례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은 김 학생은 “직경 변환기의 일부분(조임쇠)을 세라믹 코팅하면 고장이 덜할 것”이라고 ... ...
- [기획]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싶다”는 담담한 말을 남겼죠. KAIST 학생의 실패라고 특별할 건 없었습니다. 이날 연단에 선 열 명의 학생 모두 평범하게 열심히 살다가 일어날 법한 사건을 겪었고, 실패했습니다. 그래서 더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이사 마가리타 펠리자르도 산 후안(KAIST 건설 및 환경공학과 ... ...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룬 과학자들의 논문을 직접 읽기는 쉽지 않다. ‘세상에서 가장 쉬운 과학 수업: 방사선과 원소’는 이 논문들의 정수를 독자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정교수와 화학양의 대화 형식으로 풀어냈다. 수식이 필요한 어려운 부분도 고등학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서술하는 점도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