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흉함
뱃속 검음
엉큼함
비열함
d라이브러리
"
사악함
"(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오른쪽에 대한 선호가 대단히 강하다. 물론 서양에서도 왼쪽을 뜻하는 sinister는 불길함과
사악함
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어렸을 때 왼손으로 숟가락질을 하면 ‘복 달아난다’고 핀잔하며 기어코 오른쪽을 쓰게 만드는 우리나라에 비해 서양에서는 그다지 심하게 오른쪽을 강요하지 않는다.왼손 ... ...
보이지 않는 위험 보이지 않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SF 영화의 대명사 '스타워스'가 16년의 침묵을 깨고 다시 우리 앞에 돌아왔다. 뛰어난 특수효과와 흥미로운 줄거리로 이미 미국에서는 개봉되자 마자 선풍적인 관심과 인기를 끌었다. '스타워스'는 과연 어느 정도의 과학적 상상력을 관객에게 선사하고 있을까.별들의 전쟁이 다시 시작됐다. 거대한 ... ...
옥빛 물결에 잠긴 대정원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산봉오리들이 병풍처럼 끝없이 이어지는 한폭의 실물 산수화는 보는 이로 하여금 세속의
사악함
을 떨치게 한다. 비 그친 후 잔운(殘雲)이라도 남아서 봉오리들 사이 골짜기로 흘러내리면 그 누구든 시인이나 화가가 돼버린다.정선읍 광하리의 광하교에서 시작돼 강변따라 이어지는 비포장도로를 약 ... ...
고대) 머리 없는 시체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기원전 1천2백년 경 이집트를 지배하던 람세스 3세는 막대한 은을 모아 궁전 근처 밀실에 보관했다. 네모난 돌로 촘촘히 쌓아올린 창고였기 때문에 자물쇠를 열고 정문을 통과하지 않는 이상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런데 보물창고를 설계한 사람이 몰래 돌 하나를 느슨하게 끼워넣 ... ...
중세대학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독신으로 사는 것이 장려됐다. 예를 들어 옥스퍼드 부 주교인 맵은 여성의 공통점을 '
사악함
'이라 규정하고 결혼반대론을 펴 인기를 끌었다.중세의 가장 심오한 과학자로 알려진 옥스퍼드 대학 교수 그로스테스트(R. Grosseteste, 1168-1253)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는 물리학(특히 광학)과 기상학을 다룬 ... ...
PartⅢ. ②부드럽고 충직한 로봇 비서 보트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사이버 스페이스는 이제까지 인류가 경험한 바 없는 무수한 신종 생명체들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거기에는 컴퓨터 바이러스와 네트워크 웜(worm)같은 해로운 생명체도 있는 반면 웹 스파이더(web spider), 메일보트(mailbot), 채터보트(chatterbot), 캔슬보트(cancelbot), 게임보트(gamebot) 같은 인간을 위해 봉사하 ... ...
용가리와 고질라에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괴물들이 SF 영화계에 속속 등장하고 있다. 방사능에 오염된 돌연변이 괴물을 다룬 영화 '고질라'가 국내에서 상영되고 있고, 국산 토종 괴물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심형래 감독 '용가리 1988'이 제작 전부터 국내외적으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괴물은 예로부터 공포를 상징하 ... ...
르네상스) 만능천재 레오나르도 다빈치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르네상스기에 기술적 상상력의 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천재적인 인물은 단연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1452-1519)다. 레오나르도는 현대인에게 화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정작 본인은 군사기술자로 인식되길 바랬다. 당시 이탈리아의 지역 군주들이 패권을 장악하기 위해 힘겨루기가 한 ... ...
대왕무늬 선명한 백두산호랑이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호랑이 수염을 꽂거나, 관복에 호랑이 흉배를 했던 것은 모두 호랑이의 신성한 힘으로
사악함
을 몰아낼 수 있다는 생각에 뿌리를 두고 있다.호랑이는 수많은 우리 민담의 주인공이었다. 특히 민화에는 호랑이와 까치가 함께 등장하는 때가 많다. 호랑이가 꾀가 많은 까치에게 골탕을 먹은 익살스런 ... ...
20세기 슈퍼영웅 대해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20세기는 새로운 유형의 영웅들을 낳았다. 이들은 인간의 능력을 훨씬 뛰어넘는 초능력을 지녔으며, 복잡한 갈등과 혼란에 휘말려들어 괴로워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이들은 20세기를 특정짓는 과학기술로 무장하고 있다. 악당들과 맞서는 '슈퍼영웅'은 어떻게 탄생했으며 어떤 의미를 가질까.미국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