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막"(으)로 총 1,0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라인에서는 서울 전체 인구에 맞먹는 900만 명이 살아갈 예정입니다. 이들은 모래 사막 한가운데 위치한 더 라인 내에서 자급자족할 예정이죠. 어떻게 먹을거리를 조달할까요? 동식물도 ‘공장’에서 키운다!더 라인에서는 먹을거리를 수직으로 설계된 스마트팜에서 생산할 예정입니다. 스마트팜은 ... ...
- [특집] 500m 초고층빌딩 170km 이어서 지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의도지요. 과연 가능할까요? 초고층빌딩의 걸림돌 ‘바람’을 극복하라!더 라인은 사막의 만리장성이라고 불릴 정도로 어마어마한 위용을 자랑합니다. 과연 8년 만에 이런 빌딩을 완성할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건축 기술과 컴퓨터 설계 기술, 시멘트 기술 등의 발달로 500m 높이의 초고층빌딩을 ... ...
- [특집] 초거대 도시 어떻게 이동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부근에서 하이퍼루프 주행 시험을 하고 있습니다. 버진하이퍼루프원은 2020년 11월 네바다 사막에서 유인 모의 주행을 이미 성공한 바 있지요. 비록 모의 주행 속도는 시속 172km였지만 열차와 튜브 사이를 자기력으로 띄운 상태에서 운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이퍼루프 열차는 일반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강한 레이저 통신에 대해서는 대기가 그리 호락호락한 통신 길을 열어주지는 않는다. 사막의 신기루 현상은 뜨거운 여름날 도로 저 먼 곳을 쳐다봐도 흔히 볼 수 있다. 공기의 온도 차이가 빛의 굴절을 만들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빛은 중력에 의해서도 휘지만, 대기 밀도 차이로도 휠 수 있다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공룡 화석 발굴 게임을 해봤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플레이한 윤한상 서울대 고생물학연구실 연구원의 외침, 아니 대답입니다. 몽골 고비 사막을 포함해 국내 등 여러 화석 발굴 탐사에 참여한 바 있는 윤 연구원은 이 게임이 “발굴 과정의 전체적인 흐름은 잘 고증한 편”이라고 평가하는 동시에 현실과의 괴리를 설명했습니다. 예를 들어 지표 투과 ...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사막에서는 한낮에 65℃까지 패널의 온도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게다가 태양광 패널에 사막의 모래바람으로 이물질이 붙으면 태양광발전의 효율은 40% 이하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태양광발전 외에도 다양한 친환경 발전이 함께 진행되어야 합니다. 더 라인은 홍해 바닷가에 위치한 데다 ...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인구가 줄어들지만, 합계 출산율이 4.6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국가가 세계 인구 성장을 이끌 것이다. 이렇게 늘어난 인구는 우리의 삶에,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지금으로부터 234년 전인 1789년, 영국의 성직자였던 토머스 로버트 맬서스는 ‘인구론’이라 불리는 ... ...
- [특집] 2022 과학으로 분석한다 카타르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분석까지! 2022 카타르 월드컵Part2. [특집] 매번 진화한다 월드컵 속 신기술!Part3. [특집] 사막에서도 쿨하게 더위 막는 경기장Part4. [특집] 카타르 월드컵의 탄소중립 약속 지켜질까 ... ...
- [특집] 한준희 해설위원과 예측부터 분석까지! 2022 카타르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기간에 진행되던 월드컵이 늦게 개최된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카타르의 습하고 더운 사막 기후 때문이에요. 5월부터 10월까지 지속되는 여름은 최고 기온 50℃ 이상으로 매우 덥고 습한 탓에 겨울 개최가 결정되었습니다.20년 전에 열린 2002년 월드컵은 한국에서 개최되고 일본에서 폐막했어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와 고양이, 강물 때문에 싸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자갈을 쌓아 넣은 구조로, 모래와 자갈을 물에 가라앉혀 물을 저장하는 시설이에요. 보통 사막처럼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 설치돼 가끔 홍수가 발생했을 때 모래 입자 사이의 틈에 빗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가뭄이 발생하면 저장된 물을 방류하지요. 모래들 사이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관이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