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식"(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알아낼 수 없고, 복호화키가 있어야만 암호를 풀 수 있는 구조다. 공개키는 암호 방식을 담은 암호키, 즉 잠그는 역할을 하는 키다. 외부에 공개하기 때문에 공개키라고 한다. 비밀키는 암호를 푸는 키로 쓰는데, 자신만 가지기 때문에 비밀키 또는 개인키라고 한다. 예를 들어 RSA 암호는 두 소수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영상을 꼭 보길 권했다. doi: 10.48550/arXiv.2401.02117 영상 속 모바일 알로하는 인간의 작업 방식을 모방하는 ‘이미테이션 러닝’ 기술을 이용해 사람이 시범 보인 작업을 배우고, 원격으로 명령을 내리면 해당 작업을 알아서 척척 수행한다. 모바일 알로하가 할 수 있는 일은 새우 요리하기, 와인 흘린 것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리빙 온 어스’에서 “큰돌고래 역시 옹알이를 하며, 출생 이후 인간과 같은 방식으로 언어를 배운다”고 설명했습니다. 언어정보학의 측면에서, 돌고래가 언어를 사용한다고 본 겁니다. AI를 활용한 소리 분석 동물과의 진짜 대화를 꿈꾸며 동물 소리에 담긴 의미를 알 수 있다면, 언젠가 ‘고래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과학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MASIS) 전문가 그룹은 “계속되는 변화와 그 변화가 평가되는 방식을 고려해 과학이 앞으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좋은지, 혹은 적절한지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비판했습니다. doi: 10.2777/467 한국 과학기술은 앞으로 어떤 위치를 가져야 할까요. ... ...
- [가상 인터뷰] 24시간 둥지 지키는 펭귄의 수면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꾸벅꾸벅 졸고 있는 턱끈펭귄. 사실은 자다 깨다를 반복 중이라는데…? 나 과학마녀 일리가 펭귄의 독특한 수면 방법을 전수받고 왔어! 자 ... 밝혀졌어. 연구팀은 “턱끈펭귄이 포식자가 많은 곳에서 번식하면서 경계 태세를 갖추는 방식으로 수면법을 진화시킨 것 같다”고 설명했단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묻혀 있는 화석연료를 에너지로 쓰고 있어. 하지만 지구온난화가 심각해지면서 기존의 방식을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을 찾기 위해 애쓰고 있지.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그 답이 될 수 있을까? 과학마녀 일리가 알아 봤어! 아래쪽 사진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얼음이 불에 활활 타고 있어요. 어떻게 ...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연구가 같은 시기에 큰 발전이 일어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기도 하고, 서로 해결하는 방식이 달랐기 때문이다. 장 교수는 소수를 골라내는 체 안에 어떤 수를 넣어서 소수로 이뤄진 등차수열(두 수의 차이가 같은 수들의 나열)을 찾을 수 있는지 알아봤다면, 메이나드 교수는 체 자체에 집중하면서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실험 수학이라니, 이게 가능한 일일까요? “이전까지 수학적으로 찾아내지 못했던 쌓기 방식을 찾아낸 것이니, 면밀한 검증을 거치면 충분히 수학 연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게 이 연구원의 의견입니다.구 쌓기 문제, 순수수학과 응용과학 사이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3차원에서 구를 포장할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분야에서 작품을 만드는 한국 유일의 METI 활동가입니다. 원 작가는 “SETI의 전파 연구 방식이 과학의 영역이라면, METI는 전혀 다른 생명체에 ‘대화’를 건다는 점에서 고고학자, 언어학자, 심리학자, 예술가 등이 모두 모인 다학제적 분야”라고 말했습니다. 원 작가는 자연어(사람들이 일상적으로 ...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분석했다. 연구팀은 “분석 결과, 커피 입자의 크기, 커피 추출 방식 등에 따라 커피의 농도가 달라 기존 브루잉 컨트롤 차트에는 한계가 존재함이 드러났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찾은 수리물리학 모델은 커피뿐만 아니라 다양한 추출 또는 여과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