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명
발명가
창출자
d라이브러리
"
발명자
"(으)로 총 7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이들 두개의 기계는 지금까지 처음 발명되었을 때의 기본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고
발명자
의 이름도 상품명으로 그대로 남아있다.캠이라는 것은 축을 고정한 바퀴에 하나 혹은 복수의 돌기를 붙여놓은 것이다. 로드라는 봉이 이 바퀴를 누르면 바퀴가 회전해 돌기가 로드쪽으로 오게 되는데 ... ...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리스프(LISP)였다. 리스프는 리스트(list)라는 자료구조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리스프의
발명자
는 존 매카시라는 거물급 인공지능 학자였다. 얼굴가득 수염으로 채운 매카시는 청년시절 사회주의 이상에 심취해 좌파운동도 열심히 했다. 그리고 반전운동의 선동가로서 캠퍼스를 휩쓸고 다녔다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미국에서는 이 발명품은 1대당 1천50달러에 팔리고 있으며, 국내가격은 35만2천원이다.
발명자
는 앞으로 대기업과 손잡고 이 제품을 더욱 개량, 하이파이 오디오에 결합시킬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수동변속기의 단점을 보완하고국무총리상은 '자동차클러치용 진공배력장치'를 발명한 박승일씨(51세 ... ...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레이저의 등장으로 한단계 비약한 홀로그래피는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점차 새로운 타입이 등장하고 있다.홀로그램의 종류에는 여러가 ... 제작하고 있는데, 필자가 직접 본 최근의 완전 컬러 홀로그램은 반사식 홀로그램의
발명자
인 소련인 과학자 유리 데니슈크가 직접 제작한 것이다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위해 슈퍼컴퓨터를 이용하기 시작했다.XMP의 등장과 일본의 도전크레이Ⅰ의
발명자
, 세이모 크레이는 거대해진 회사관리가 점차 부담스러워지자 연구고문직으로 물러났다. 당시 크레이사에는 데이비드 쿡이라는 당대 최고의 컴퓨터이론가에게서 배운 스티브 첸(Steve Chen)이라는 젊은 엔지니어가 ... ...
말하는 마이크로칩 선보여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가능해 제품의 크기를 초소형화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칩의
발명자
인 ISD사의 리처드 심코회장은 "마이크나 스피커에 달기만하면 방송이 시작된다"고 간단히 사용법을 설명한다. ISD사는 목소리 이외의 아날로그 데이터도 읽을 수 있는 신제품과 함께 더 큰 용량의 ISD칩 개발에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인정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아무리 우수한 발명을 했더라도 출원의 절차가 없으면
발명자
에게 권리(특허권)이 주어지지 않는다. 같은 발명이 여러 사람에 의해 출원된 경우 가장 빨리 출원한 사람에게 권리가 주어진다. 이것이 선(先)출원주의인데, 미국을 제외한 전세계가 이 제도를 채택하고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등장한 것은 1982년 말이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자동차 기술자인 게리 퍼킨스가 최초의
발명자
다. 그는 차체 중량이 1백25㎏인 태양전지차(7백20개의 태양전지를 장착)를 제조해 오스트레일리아의 서해안 도시인 퍼드에서 시드니까지 4천㎞의 거리를 달렸다. 이때 소요기간은 20일이었다.선 레이서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는 것으로 현재도 대학에서 교육연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정전압가속기를
발명자
의 이름을 따서 반데그라프가속기라 한다.1940년대에 들어서면 입자를 직선으로 가속하는 선형가속기(linear accelerator)가 속속 개발되는데, 가속에너지를 높이려면(수억 eV까지 가능) 가속기의 길이를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인공씨감자 기술은 상당액의 로열티를 보장받고 있는데, 그중 50%는 과학재단에, 30%는
발명자
에게 돌아간다.피를 멎게 하는 지혈제인 α-트롬빈 개발도 이미 완료됐다(김지영박사팀). 트롬빈의 원료인 프로트롬빈과 프로트롬빈-2를 생산하는 미생물균주를 유전공학적으로 개발, α-트롬빈의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