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이오"(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인류의 질문에 답하는 곳, IBS 중이온 가속기연구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가야 할 수 있었던 연구를 국내에서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핵물리, 입자물리, 재료,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연구를 하고 싶다면 중이온가속기를 어떻게 활용할지 잘 생각해 보길 바랍니다. 저희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 연구자들에게도 많이 물어보길 바라요. 여러분의 ... ...
- ‘기적의 다이어트약’ 출시, 이번엔 진짜 기적 맞아?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병이 있다면 치료제도 있어야겠죠. 비만치료제 시장이 몸집을 부풀리고 있습니다. 한국바이오협회는 2022년 발표한 ‘글로벌 비만치료제 개발 동향’을 통해 세계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1년 32억 달러에서 2026년 46억 달러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죠. 일주일에 한 번 ‘따끔’하면 17.4% ... ...
- [영화 속 SF]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영화 속 개조생명체들은 실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아데닌은 구아닌으로, 단일 염기 단위로 바꿀 수 있어 파급력이 강한 기술이죠. 미국의 바이오 기업인 버브 테라퓨틱스는 이 기술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데 관여하는 ‘PCSK9’라는 단백질 유전자를 영구적으로 비활성화하는 치료제를 개발했습니다. 현재 영국과 뉴질랜드에서 가족성 ... ...
- [5년 후, 과학은] 인체의 면역을 이용해 암까지 치료하는 면역관문억제제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작은 제약회사가 그와의 개인적인 친분으로 특허 출원을 도왔는데, 이 특허를 바이오기업인 메다렉스와 제약기업인 BMS가 인수해 본격적으로 신약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지금의 니볼루맙(nivolumab, 상품명 옵디보)이라는 약이 등장했죠. 이후 CTLA-4 억제제 이필리무맙(ipilimumab, 상품명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줄기세포로 장기를 조립하다,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마티아스 뤼톨프 교수팀은 오가노이드 모양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성체줄기세포를 바이오 잉크로 사용해, 실제 조직에 더욱 가까운 형태의 오가노이드 미세구조를 인쇄(바이오 프린팅)하는 기술을 고안했습니다. 줄기세포를 형태적으로 지지하고 생장을 도울 다양한 물질을 사용함은 물론, ... ...
- [가상 인터뷰] 만나면 반갑다고 오른쪽으로~, 개 꼬리의 용도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많은 경쟁 선수들이 꼬리를 활용하지만, 작년 12월 31일 독일 막스플랑크 지능체계연구소 바이오 로봇 및 신체 보행 그룹의 아르디안 주수피 박사 연구팀은 개가 움직일 때 꼬리를 거의 활용하지 않는다는 연구를 발표했죠. 꼬리를 잘 안 쓰신다고요?연구팀은 “개과 동물은 꼬리를 일직선으로 ... ...
- [과학 뉴스] 멸종 위기 북부흰코뿔소, 원시생식세포로 복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있는 수컷의 것이라 개체를 복원하더라도 다양한 유전자를 남기긴 어려운 상황이었어요. 바이오레스큐 연구팀은 “나비레의 피부조직으로부터 만든 원시생식세포로 더 많은 유전적 다양성을 지닌 정자와 난자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어요. ●줄기세포 : 뼈, 뇌, 근육 등 여러 종류의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지난 2019년 10월호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넘어섰다’란 기사를 통해 이상완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에게 “AI는 인간의 지능을 넘어설 수 있을 것인가”란 질문을 던졌다. 당시 이상완 교수는 “AI가 고도화된 인간의 지능을 따라잡는 것은 다른 차원의 얘기”라고 답했다. AI는 주어진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리코팜. 불치병 정복을 목표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창업 경진대회에 탈락하는 고배도 마셨다. 그러다가 이들의 레이더 망에 걸린 것이 제약바이오 분야였다. 일반 제약회사는 질병의 원인을 찾는 AI 솔루션을 자체적으로 개발해 신약개발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학에 있는 연구자들은 이런 솔루션을 사용하기 어렵다. 실리코팜은 바로 이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나아갈 겁니다. 조직공학 기술로 제작한 인공조직이 나노 바이오 전자소자, 바이오 센서, 바이오 칩과 같은 인접 분야의 기술과 결합해 더욱 진화할 날이 곧 올 겁니다. 조직공학의 개념이 학술지에 소개된 지 30년이 지났습니다. 정교한 생명을 다루는 낯선 분야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기엔 매우 짧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