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크론"(으)로 총 97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항 방사광가속기 지상공개과학동아 l1994년 12호
- 방사광 X선일 수밖에 없다. 톱니바퀴 하나의 높이가 머리카락 굵기의 반밖에 되지 않는 50미크론. 마이크로모터를 장착한 마이크로머신이야말로 인체기행이 자유자재로 가능한 미래의 '혈관의사'다.심장 근육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기면 심근경색 협심증 등 여러가지 ... ...
-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화 5단계과학동아 l1994년 09호
- 탑재되어 있다. 이중 4개가 카메라로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원적외선 파장대(0.3-9.5미크론)에 걸쳐 11개 파장 영역의 화상관측을 수행하게 된다. 달이나 소행성 표면의 암석은 그 속에 가지고 있는 광물질에 따라 각기 다른 파장의 빛을 흡수한다. 따라서 여러 파장 영역에서 관측된 화상을 ...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과학동아 l1994년 09호
- 미국의 퀴퍼관측소는 보잉747에 지름 1m짜리 망원경을 장치해서 고도 12km 이상을 날면서 10미크론 영역의 적외선 관측을 해냈다. 이 결과 충돌장소의 온도를 측정해냈으며, 미량 원소들의 휘선을 관측함으로써 충돌장소의 열적 변화를 소상히 알아낼 수 있었다.8m짜리 하와이 케크천문대, 5m짜리 팔로 ... ...
- 2. 태양계 축소판, 16개 위성과 소행성 가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지상의 적외선 망원경에 의해 여러 파장에 걸처 관측돼 왔는데 ${H}_{3}^{+}$ 이온에 의한 3.4미크론 영역의 적외선 오로라가 가장 밝고 아름답다. 이 ${H}_{3}^{+}$ 오로라는 필자와 바론박사에 의해 1991년 세계 최초로 촬영됐다(사진5). 에우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위성들은 분화구가 없으므로 이오와 같이 ... ...
- 3. 컴퓨터 모의 실험- 세기적 '우주쇼' 대예측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자기장에 잡혀 빠른 속도로 돌면서 고에너지화된다. 데슬러 교수의 최근 이론에 따르면 미크론보다 작은 크기의 먼지입자들은 태양풍에 의해 전하를 띠게 돼 일정한 전압이 형성된다. 이 입자들이 목성의 자기장 속에서 파괴되면 이온들을 방출하게 된다. 이러한 이온들의 전체 양은 잘 알려져 있지 ... ...
- 안개에서 물뽑아 생활용수로 이용한다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구름이 된 작은 알갱이가 수없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것. 구름 알갱이의 반경은 평균 수십 미크론 정도고, 빗방울의 반경은 0.1-1mm. 즉 구름의 물알갱이가 10만-1백 만개 모이지 않으면 한방울의 빗방울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춘근고 마을이 있는 칠레 북부연안 일대, 해발 4백-1천2백m의 산지에는 토착 ... ...
- 현대전자, 64MD램 엔지니어링 샘플 개발과학동아 l1994년 01호
-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현대전자는 메모리셀 개발을 위해 자사의 고유 기술을 적용, 0.35미크론의 초미세 가공장비인 I라인 스테퍼를 근간으로 한 공정기술을 개발 채택해 제품의 양산성을 높였다.현대전자가 92년 하반기에 신제품을 발표하고 이번에 엔지니어링 샘플을 개발한 64MD램은 세계 반도체 ... ...
- 재료공학계의 새바람 폴리머 시트 탄생과학동아 l1993년 08호
- 각층 내부가 결합된다.이와 같이 하여 평균 1평방 미크론의 면적에 균일한 두께 0.005미크론인 시트가 합성된다. "이 방법의 장점은 합성물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작은 시트도 큰 시트도 만들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예전에도 폴리머 시트 합성은 시도된 바 있다. 지난 10년간 하버드대 ... ...
- 생체처럼 환경변화에 감지·적응 능력지닌 21세기 신소재 「스마트 재료」과학동아 l1993년 04호
- 등을 들 수 있다.전자유동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 ERF)는 물을 싫어하는 액체 위에 미크론(μ) 크기의 친수성(물을 좋아하는) 입자들이 떠있는 재료인데, 여기에 전기장을 가하면 재료 특성이 가역적(可逆的)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사진2)는 전기장을 가하지 않은 경우 전자유동유체가 ... ...
- 황금을 만드는 세균과학동아 l1992년 12호
- 자기 몸의 주위에 순금의 박막을 형성한다는 것.전자현미경으로 시금을 관찰하면 미크론 단위의 둥근 물체가 가느다란 막대로 연결된 렌즈상의 그물구조를 볼 수 있다. 이 구조가 바로 페도미크로븀(Pedomicrobium)이라는 세균이 만들어낸 주조물이라는 주장이다. "조사한 세균의 대부분은 이 구조를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