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숨힘"(으)로 총 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고양이만의 세상이 있다고 합니다. 그곳에는 덧셈도 할 줄 알고 퍼즐도 풀 수 있는 천재 고양이도 있다는군요. 지금껏 인간 세상에 알려진 적 없는 고양이 왕국 ‘이페르’에 무슨 일이 생긴 걸까요?인간 세상 너머 고양이 왕국에는…1347년, 이곳 한반도는 충목왕이 다스리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직장생활 4년차 김 대리에게는 점심식사 후 회사 옥상에서 커피 한 잔을 마시며 이런저런 잡생각에 빠지는 시간이 유일한 낙이다. 희뿌연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바라보며 멍하니 있다 보면 엉뚱한 생각이 꼬리를 잇는데, 팍팍한 일상을 잊게 하는 나름의 맛이 있다. 오늘도 따뜻한 커피 컵을 손에 ... ...
- [Knowledge]전투면역 세포 백혈구의 재발견, 뉴트로필 리턴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사회자 오늘도 골수를 찾은 수많은 면역 줄기세포 여러분 반갑습니다. 대학 입시 설명회다, 신년회다 하면서 인간들이 바쁠 시기인데요. 이리저리 돌아다니느라 찬바람을 잔뜩 쐐 감기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장차 면역 세포를 꿈꾸는 줄기세포들에게도 가장 바쁜 시기입니다. 오늘도 입시 경향 ... ...
- 기후변화의 비극 환경난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으앙~! 여긴 어디지? 바다는 너무 춥고 무서워! 아, 그래도 인사를 해야겠지? 안녕? 내 이름은 아마드야. 시리아에서 어른들이랑 같이 배를 타고 왔어. 사람들은 우리같은 사람을 ‘난민’이라고 한대. 그런데 난민이 뭐냐고? 음, 엄마한테 물어봐야겠다. 그런데…, 어? 엄마가 안 보여! 엉엉! 우리 엄 ...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2015년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됐어. 올해도 8명의 과학자들이 노벨 과학상을 받게 됐지. 이 수상자들은 오는 12월 10일 오후 4시30분에 열리는 노벨상 시상식에 참가할 예정이야. 왜 하필 그날이냐고? 그날이 바로 내가 죽은 날 죽은 시각이거든…. 내가 바로 노벨상을 만든 알프레드 노벨이란다. 노벨 ... ...
- 아끼고 지키는 게 힘!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우리가 사는 지구는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으로 심각한 문제에 빠져 있어요. 그동안 과학 기술과 산업이 발전하면서 생활은 윤택해졌지만, 반대로 생물이나 환경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 것이죠. 환경 변화는 우리 주변의 생물 친구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생물이 사라지는 걸 막기 위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끝없이 펼쳐지는 수평선을 따라 배가 한 척 지나가고 있어요. 바람을 받아 팽팽하게 펼쳐진 돛이 아주 멋지네요! 돛에 써 있는 네 개의 알파벳 ‘TARA(타라)’가 이 배의 이름인가 봐요. 작은 그물을 자꾸 바다 속에 넣었다 빼는데, 대체 무엇을 하는 걸까요? 저렇게 작은 그물로는 물고기도 많이 잡을 ...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안녕! 나는 지금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메르스 바이러스야. 지난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과학자들에 의해 처음 발견됐는데, 올해 사람 몸속으로 들어왔다가 처음으로 대한민국에 오게 됐어. 그런데 사람들이 날 엄청 무서워 해. 나로 인해 아프거나 죽는 사람들이 생겨서 그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무자비한 테러 사건 소식을 접하며 의문을 떠올린다. “인류는 짐승이 아니지 않은가. 서로 물어뜯고 죽이는 일은 짐승이나 하는 일 아닌가. 그럼에도 잔혹한 테러와 전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오히려 늘어나는 것 같기도 하다. 혹시 폭력은 인류의 본성인가.”결론부터 이야기하자. 위 의문은 전제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는 외모나 행동, 살아가는 모습이 아주 비슷해요. 그래서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구별하기 힘들지요. 특히 두 종은 같은 공간에서 살기 때문에 수원청개구리인줄 알고 잡았는데 실제론 청개구리인 경우가 많아요. 수원청개구리와 달리 청개구리는 개체수가 많아 만나기도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