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먼 바다"(으)로 총 6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꿀팁, 지금부터 소개합니다! TIP1. 물이 잘 안 나오는 행성은 안 돼요가장 먼저 고려할 조건은 단연 물입니다. 집을 구할 때 세면대, 싱크대 물을 꼭 ... 우리가 사는 행성, 지구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지구의 표면적 70%는 바다이고, 건조한 사막보다는 습한 열대우림에 더 많은 생물자원이 분포하죠. ... ...
- [헷갈린 과학] 이 정도면 쌍둥이? 시베리안 허스키 vs 알래스칸 맬러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끌고 힘차게 달리는 개를 떠올려 보세요. 가장 먼저 ‘시베리안 허스키’가 생각나진 않았나요 ... 도와 양식을 찾기 위해 터전인 내륙지방에서 바다까지 먼 길을 이동하며 살았던 것으로 유명해요. 이들은 짐이나 우편 등을 배달하며, 부족의 일원으로 생활했지요. 늑대와 닮은 시베리안 허스키를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만드는 ‘21세기의 김정호’였다. 다만 탐험하고 있는 대상이 광활한 바다나 먼 우주가 아니다. 그는 세포가 만드는 다양한 단백질을 밝히고 그 특성을 상세히 기록한 ‘단백체(Proteome) 지도’를 만들고 있었다. 한국인을 위한 단백체 지도2003년 인류는 거대한 과학적 성과를 이뤄냈다. ‘인간게놈 ...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생명체가 살기 좋은 환경인 지구(맛있는 사과)가 먼 우주에서 어떻게 보이는지(사과의 색깔), ... 수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위성에서 바라보는 바다와 대륙의 위치가 자전에 의해 규칙적으로 변하고 ... 밝기를 불규칙적으로 변화시킵니다. 대륙과 바다 위로 펼쳐진 구름은 시간에 따라 항상 변하기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화. 꿈에 그리던 수석 졸업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슬쩍 눈을 돌려 부모님을 봤습니다. 부모님도 먼발치서 자랑스러운 표정으로 딱지를 바라보고 ... 그만 누군가와 부딪혔습니다. 그러자 그 사람이 먼저 사과했습니다.“실례했습니다. 아, 자네는 ... 깨는 야리야리 행성의 심해고래가 숨을 쉬러 바다 위로 올라왔는데 하필 그 위를 날아가던 비행기에 ... ...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하는 과학자가 꿈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론상으로만 알려져 있던 블랙홀의 실체를 밝혔고, 일반 상대성이론이 먼 거리의 거대한 천체에서도 빈틈없이 작동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 그는 “예를 들어 최근 수업 중에 진화의 예시로 고래가 뭍에서 살다가 바다로 들어갔다는 내용을 배웠는데, 이미 과학동아에서 관련 기사를 본 적이 ... ...
- [통합과학교과서] 눈이 부셔, 팅커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네버랜드! 네버랜드의 주인공인 피터 팬이 이 먼 곳까지 두 탐정 콤비를 부른 것이죠. 저 ... 얼굴을 번갈아 보다가 이야기를 시작했어요.“먼저 생물들이 내는 빛에 대해 알아봐야겠네요 ... 쓰이는 것으로 확인됐어요. 예를 들어, 깊은 바다에 사는 훔볼트오징어는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생체 ... ...
- 불법조업, 해양생물과 인간을 괴롭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정의한 ‘IUU어업’을 가리켜요. IUU어업은 특정 바다를 관리하는 기관에 허락을 받지 않고 조업을 ... “수백 km에 달하는 길이의 그물과 낚싯줄로 먼 바다뿐만 아니라 심해까지 어류를 대량으로 잡을 정도로 어업 기술이 발달했다”며, “기술은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자연을 훼손할 ... ...
- 튀어다니고, 기어다니고! 튀는 탐사선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발견했어요. 엔셀라두스의 얼음 아래 액체 바다가 있다는 증거였지요. 이후 분출된 물질의 ...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엔셀라두스의 바다에 생명이 살 정도로 따뜻한 열원이 있다고 ... 달라지죠. 나사 제트추진연구소의 벤자민 호크먼 연구원은 소행성 표면을 튀어 다니면서 중력을 측정하는 탐사선 ... ...
- 태양을 망원경으로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25km 정도까지 구분할 수 있다”고 밝혔어요. 그럼 외계행성 표면에 바다가 있는지, 대륙은 어떻게 생겼는지까지도 볼 수 있어요.물론 태양 ... 가장 멀리까지 날아간 보이저 위성이 약 150AU 거리에 있는데, 이보다 3.7배 먼 곳까지 우주망원경을 보내야 하죠. 슬라바 투리셰프 박사는 “작은 군집 위성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