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디지털"(으)로 총 1,5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이스피싱, 목소리까지 훔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한다”고 했어요. 정보보안 전문기업 마크애니 이태윤 연구원은 “오디오 파일에 디지털 신호를 추가하면 사람의 귀에는 들리지 않지만, 컴퓨터로는 식별할 수 있는 오디오워터마크를 만들 수 있다”며, “워터마크 기술이 지금은 콘텐츠 무단 사용이나 배포 등을 막는 데 주로 쓰이고 있는데, 향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를 위한 즐거운 OTT 이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넷플릭스, 디즈니 플러스, 쿠팡플레이 등 어느덧 일상생활이 된 OTT는 즐거운 놀이 공간으로 자리 잡았어. OTT를 슬기롭게 사용하면 재밌고 유익하지만, 잘못 ... 등을 정리해 봅시다.참여 방법 팝콘플래닛 홈페이지 – 플레이콘 놀이터 - 토크토크에 [디지털 바른 생활] 말머리를 달아 올리기 ...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오감으로 현실을 인식한다. 그래서 ‘실제 공간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같은 디지털 콘텐츠’에는 궁극적으로 오감이 모두 구현돼야 한다. 애플이 비전 프로를 통해 구현한 감각은 시각과 청각뿐이다. 공간 컴퓨터가 이름값을 하기 위해서는 갈 길이 많이 남은 셈이다. 정 본부장에게 그 길을 ... ...
- 성문 분석 AI로 여죄 묻고, 조직 검거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아시나요?” 지난 3월 17일,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 디지털과에 경찰을 사칭한 한 남성의 목소리가 스피커를 통해 흘러나왔어요. 모니터엔 ‘유사도 9.257’, 일치 확률 79.126%, 불일치 확률 0.000%’ 이라는 숫자와 그래프가 떠 있었지요. 국과수 박남인 연구원은 “201 ... ...
- [뉴스%인터뷰] 독사 어금니 모방한 주사기로 코로나19 백신 맞는 날 올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를 통해서 감각을 느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신경세포는 아날로그 신호 체계가 아니라 디지털 신호 체계인 전기 신호로 통신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런 원리를 활용해 필자가 연구원으로 참여한 미국 스탠퍼드대 공동연구팀은 압력에 따라 전기신호를 만들고, 이런 신호의 발생 빈도에 따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허위 조작 정보를 퇴치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교사). 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습자료를 만들고 수업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
- [메타버스 활용법] 액션 모드와 AR 필터로 신기한 영상 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각별히 조심해야 합니다.(!학교에서 영상을 촬영할 경우, 반드시 보호자와 선생님께 디지털 기기 사용과 관련해 미리 허락을 구하세요.!) ‘액션’ 기능은 제페토의 캐릭터가 실제 내 얼굴을 따라 움직이는 기능이에요. 스마트폰 화면에 뜬 내 아바타와 마주 보며 웃거나 찡그리면 아바타가 내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진화된 로봇 군단 현실에서 얼마나 구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대화와 악수를 나눴습니다. 영화 속에서 미라지가 사용한 홀로그램 기술이 이와 같은 디지털 홀로그램 기술이라면 현실에서도 어느 정도는 구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평소 미라지의 움직임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기록했다가 필요한 때에 꺼내서 보여주면 되니까요. 나아가 홀로포테이션 기술이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갤러거 미국 하원의원은 올해 NBC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틱톡을 마약성 진통제에 빗대 ‘디지털 펜타닐’이라고 주장했어요. 숏폼이 마약과 같다니, 뭔가 무섭지 않나요? 실제로 틱톡뿐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 숏폼 미디어 이용으로 인한 사회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 ...
- AI 시대에 알맞은 수학 공부법, 비판적 사고와 질문하기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것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스마트폰 사용에 서툰 사람들은 ‘디지털 문맹’이라 불리며, 일상에서 꽤 많은 불편함을 겪고 계시죠. 이와 비슷하게 언젠가는 ‘인공지능 문맹’이라는 말이 나올지도 모릅니다. 앞서서 챗GPT를 사용해보고, 어떻게 챗GPT를 보완하고 활용할지 안다면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