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쪽
후방
뒷방면
뒤편
d라이브러리
"
뒷쪽
"(으)로 총 6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반사식에는 한 광원(one beam)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피사체가 사진건판 바로
뒷쪽
에 위치해 있다. 원리는 기준파가 사진건판에 전달된 후 사진건판에 투과돼 피사체에 닿게된다. 반사 돼 나오는 물체파는 물체의 모양에 따라서 변화된 파장이 다시 사진건판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때 이미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없게 된다. 그러면 비둘기는 체내에 있는 자석을 이용해 방향을 알아낸다. 비둘기의 눈
뒷쪽
에는 자기를 띤 작은(1㎣) 조직이 있는데 여기서 지구의 자기장을 느끼고 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감각을 자기장 감각이라고 한다.이것을 확인하기 위해 생물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목에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되풀이해서 변환하면 움직이는 화상도 얻을 수 있다. 이런 CCD를 촬상관대신 렌즈
뒷쪽
에 설치하면 로봇의 눈으로 사용되는 카메라를 만들 수 있다. L. A. 올림픽 때 첫 선당초 소니는 마비카의 시작기를 발표할 때 1983년에는 이 카메라를 시판할 계획이라고 장담했다. 그러나 막상 생산개발에 ... ...
의족보행자도 슬라이딩을 할 수 있다 정신적 위안까지 제공하는 「촉감시스템」등장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땅을 누르면 전기신호는 다리의 앞쪽에서 전달되고, 발뒤꿈치로 누를 때는 다리의
뒷쪽
에서 전기자극이 전달되도록 설계돼 있다. 따라서 사볼리치촉감시스템은 실제로 달리거나 걸을 때 받는 느낌을 아주 유사하게 재현시킨 장치인 셈이다.의족보행자에게 자극을 주는 최종장치인 전극은 다리를 ... ...
거북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육지에 오른다. 등갑의 길이는 보통 2m 내외고 다른 거북과는 달리 등의 앞부분에서
뒷쪽
으로 7개의 줄기가 마치 산맥의 융기대와 같이 그어져 있다. 표층은 다른 거북들이 굳은 각질로 돼 있는데 반해 혁질(革質)의 피부로 덮여 있다.네개의 다리는 물에서의 생활에 적합하게 노처럼 생겼고 앞발이 ... ...
말하는 컴퓨터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방법은 현재 분석하고 있는 프레임만으로 음성의 시점 종점을 판단할 수 없고, 몇 프레임
뒷쪽
의 정보까지 알아야만 음성구간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정도까지의 과거 정보를 기억시켜 두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인식 알고리즘대상 구간이 음성구간으로 검출되었을 때 이 ... ...
초기인류의 언어능력을 말해주는 뼈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불리우기도 한다.그들의 머리는 우리의 머리만큼 크거나 약간 더 큰 경우도 있다. 그러나
뒷쪽
이 크고 앞쪽이 작은데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알수가 없다.의문은 과연 네안데르탈인이 말을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이다. 해답의 열쇠는 혀뼈(설골)에 있다. 이 뼈는 혀의 기저부에 있는 U자형의 작은 ... ...
동 역학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② 등을 차의
뒷쪽
으로하고 차의
뒷쪽
으로 뛰어내린다.③ 등을 차의 앞쪽으로하고 차의
뒷쪽
으로 뛰어내린다.2. 책상 위에서 동전 A를 천천히 굴려서 책상끝에서 떨어뜨리게 하는 순간, 동전 B를 책상끝에서 수평방향으로 굴렸을때 어느 동전이 바닥에 빨리 떨어지겠는가?① A동전이 빨리 떨어진다.② ... ...
특히 아름답고 희귀한 왕오색나비와 홍점알락나비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암컷있는쪽으로 접근하게 된다. 암컷은 날개를 조금씩 진동시키면서 결국 수컷이 암컷의
뒷쪽
으로 돌아서 복부의 끄트머리에 접하고 갈구리모양의 구상기(鉤狀器)를 걸어서 파악기(把握器)로 강하게 암컷의 복부에 밀면 교미가 성립된다.교미시간은 이른아침 암컷이 우화(羽化)되는 직후에 ... ...
곧 실용화할 첨단 비행기들 STOL·VTOL·V/STOL의 삼총사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EBF)법과 상면분사플랩(USBF)법등이 있다. 전자는 날개에 달린 엔진의 배기가스가 날개의
뒷쪽
플랩에 부딪혀 아래 방향으로 굽어 흐르게 함으로써 윗 방향으로 향하는 양력을 추가로 얻게하는 방법이다. 후자는 날개의 상부표면에 가깝게 엔진의 분출가스가 흐르도록 엔진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방법.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