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반려동물과 영원히 함께할 수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안녕! 나는 강아지 개코의 반려인이야. 개코가 우리 집에 온 지 벌써 10년. 개코는 평생 건강할 줄 알았는데, 요즘엔 나이가 들어 군데군데 아프기 시작했어. 그런데 개코랑 털 색깔도, 눈매도 똑같은 강아지를 볼 수 있는 방법이 있대. 어떻게 가능한 걸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 ...
[과학뉴스] 130억 살 넘은 블랙홀, 기존 이론 뒤집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이론으로는 이 블랙홀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설명할 수 없는 거예요. 케임브리지
대학
교 캐번디시연구소 로베르토 마이올리노 교수는 “이 정도 크기의 블랙홀이 발달하기에는 너무 이른 시기여서 기존 이론과 다른 방식으로 블랙홀이 형성됐을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며 “어쩌면 초기 우주는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날아올라 담장 저편으로 넘어가는 홈런을 보면 정말 짜릿하지요. 지난해 미국 다트머스
대학
교 지리학과 연구팀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홈런이 늘어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1962년부터 2019년까지 메이저리그에서 진행된 경기 약 10만여 건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기온이 1℃ 상승할 ... ...
[특집] 개코, 복제해도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경우도 있습니다. 실패가 계속되면 2마리보다 더 많은 동물이 필요합니다.전주교육
대학
교 윤리교육과 김성한 교수는 “복제 과정에서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해야 한다”라고 말했어요. 현재 반려동물 복제 업체가 복제에 얼마나 많은 동물을 동원하는지, 동물이 받을 고통을 줄이기 위해 어떤 조치를 ... ...
[화보] 바다생물을 찾아서 바다로 다이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지구 표면의 71%를 차지하는 드넓은 바다에서 사는 바다생물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만 해도 24만 종이 넘는다. 그 중 우리가 이름을 댈 수 있는 생물은 몇이나 될까? 신비로운 바다생물을 알리기 위해 직접 바닷속에 뛰어들어 사진을 찍는 사람이 있다. 그의 사진첩 일부를 공개한다. “바다생물은 생 ... ...
경사계로 화산 폭발 감지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000년 전 과거의 화산 폭발 규모를 추정하는 방법이 있을까? 2021년 미국 사우스플로리다
대학
교 지구과학과 연구팀은 화산이 폭발할 때 나타나는 우산 모양의 화산재 구름을 분석해 과거의 화산 폭발 규모를 추정하는 모형을 개발했다. 이 모형은 먼저 화산 폭발로 생긴 퇴적물의 두께를 분석해 우산 ... ...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발생을 몇 시간 혹은 며칠 전에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미국 브라운
대학
교 지구환경 및 행성과학과 연구팀은 산사태 예측에 주로 사용하는 ‘핀볼 모형’을 이용해 단층의 갑작스러운 움직임을 예측했다. 공이 여기저기 부딪히며 이동하는 ‘핀볼 게임’에서 따온 단어로, 돌이 ... ...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9 확진자의 적절한 격리 기간을 구하는 데에도 수학 모형을 활용할 수 있다. 정일효 부산
대학
교 수학과 교수팀은 코로나19 확진자의 적정 격리 기간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10일간 격리 기간을 가진 뒤 증상에 따라 연장 또는 격리를 종료하는 방법(획일적 방법)과 PCR 검사를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수학 모형을 선거 예측에도 이용할 수 있다. 2020년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
교와 캘리포니아
대학
교 로스앤젤레스(UCLA) 등으로 이뤄진 공동연구팀은 전염병 모형 중 하나인 ‘SIS 모형’을 활용해 새로운 선거 예측 모형을 만들었다. 이 모형에서 전체 인구는 전염병에 걸리지 않은 취약군(S)과 전염병에 ...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이에 대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베타세포 연구자인 김하일 KAIST 의과학
대학
원 교수는 “탄수화물만 섭취하지 말고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혈당 스파이크를 막는 방법”이라며 “단백질과 식이섬유는 소화 과정을 느리게 만들어 탄수화물의 소화와 포도당의 흡수가 점진적으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