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솜씨
능란
유창함
진보
숙달
숙련
d라이브러리
"
능숙
"(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극비공개 괴물동물원 비밀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외눈박이외양 : 눈이 이마 한 가운데 하나밖에 없다.특징 : 손재주가 뛰어나대장일에
능숙
하다.고향 : 그리스괴 박사의 분석‘백문이 불여일견’이라는 말이 있듯이 인간은 두 개의눈을 통해 많은 정보를 얻는다. 눈이 얻은 정보는 뇌에 전달되는데, 이 때 눈에 맺힌 상이 두 개가 ... ...
솜털처럼 가벼워 보이는 구름의 질량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연구를 하고 있다. 패리토시 교수가 참여한 프로젝트의 최종목적은 어림 문제를
능숙
하게 해결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그는 현재 컴퓨터가 계산은 잘하지만 물리적인 직관이 없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치를 잘못 입력해 계산한 결과 지구 반지름이 10m로 나와도 오류로 ... ...
사실이야? 진짜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있나 한번 찾아보세요. ▶나 혼자만 먹을래~ 침팬지침팬지는 사람만큼 거짓말이 아주
능숙
하답니다. 평생을 침팬지와 함께 한 제인 구달 박사님은 재미있는 실험을 했어요. 친구들과 항상 어울려 다니는 침팬지 한 마리를 따로 불러서 한 번에 다 먹을 수 없는 바나나를 주었어요. 그러자 침팬지는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대부분 모국어 언어영역을 벗어난 뇌의 여러 넓은 영역이 함께 작동한다. 외국어에
능숙
하지 않은 사람이 외국어를 사용하는 회의를 마치고 탈진해 허기지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전신 에너지의 20%를 쓰는 뇌의 여러 부분이 움직이면 포도당도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자유자재로 외국어를 ... ...
3. 수학은 돈 버는 여의봉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고도의 수학적 지식이 필요하다. 이를 프로그램으로 만들려면 컴퓨터 프로그래밍에도
능숙
해야 한다.금융공학자들은 사람들의 차별적인 욕구 충족을 위한 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재무이론과 수학, 통계학, 전산, 물리학의 이론을 활용한다. 미국의 투자은행들은 과학과 수학으로 무장된 인재들을 ... ...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흑인 얼굴을 지각하는 능력은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 많이 볼수록 얼굴 처리 영역이 더
능숙
해지기 때문이다. 이처럼 얼굴 지각 메커니즘은 상당히 전문적으로 발달해 있다. 이를 차단했을 때 느끼는 부담이나 답답함이 바로 공포를 유발하는 요소가 된다.‘링’에서 귀신이 걷는 동작을 유심히 ... ...
레고 마인드스톰을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여러 인터넷 사이트가 방대한 양의 마인드스톰 예제와 각종 팁을 제공하고 있지만, 점점
능숙
해지다 보면 자신의 실력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지기 마련. 퍼스트레고리그(FLL)와 월드로봇올림피아드(WRO)는 세계 마인드스톰 매니아들이 재능을 마음껏 펼 수 있는 기회다. FLL은 9~14세의 청소년들을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오른손으로는 무기를 들어서 싸움에 임했을 것이기 때문에 오른손에 대한 사용이 점차
능숙
해졌을 것이라는 추정이다.또 하나. 종교적 사고도 ‘왼손 천시’에 한몫한다. 성경에는 오른손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1백가지 이상 포함하고 있는 반면, 왼손에 대한 좋은 의미는 찾기 힘들다.하지만 ... ...
인터넷과 휴대폰 최강국 핀란드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계속 양성되고 있다. 또한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인터넷 공용 언어인 영어도
능숙
해 국제적인 경제활동이 활발하다. 심지어 핀란드 정부에서는 ‘정보기술 운영 면허증’이란 자격증까지 발급해서 정보화를 생활화하고 있다. 이런 결과로 1990년대 초까지 경제 불황을 겪었던 핀란드는 199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능숙
함, 사회적 친화정도라고 생각했다. 심리학을 공부한 사람들은 지능을 언어구사의
능숙
함,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실질적인 지능으로 정의했다. 두 집단의 가장 큰 차이점은 비 전문가의 경우는 사교성을 지능의 한 부분으로 강조한 반면 심리학전문가들은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것이다.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