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바람
모래 먼지
폭풍설
소나기
snowstorm
d라이브러리
"
눈보라
"(으)로 총 7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 플레어 지구 강타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플레어가 나타난지 48시간 후에는 더 큰 플레어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소호위성은
눈보라
처럼 날아오는 대전된 입자들과 부딪쳐 궤도운동에 영향을 받았다. 두번째 플레어는 지구로부터 약간 벗어난 방향에서 일어났지만 태양이 오랜 잠 속에서 깨어난 것처럼 강력했다. 주기적인 활동을 보이는 ... ...
백두산 곤충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백두산!” 이란 감탄사를 가슴으로 동의하게 된다.정상에서 만난 별종들 천지 주변에는
눈보라
처럼 휘날리는 거대한 진딧물 무리가 날아다니고 있었다. 이 진딧물들은 어디서 날아온 것일까. 알 수 없는 일이었다. 진딧물을 먹이로 삼는 또하나의 곤충인 무당벌레도 주변에서 관찰됐다. 확실치 ... ...
화학 - 플라스크 속 황금빛
눈보라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겨울이라도 매일 눈 내리는 모습을 볼 수는 없지요. 그러나 실험실에서는 황금빛 눈발을 언제라도 즐길 수 있습니다.플라스크 속의 반짝이는 눈발은 여러분을 동화 속의 세계로 안내할 것입니다.● 준비물요오드화납(${PbI}_{2}$) 물 플라스크 전기히터(알코올 램프)● 실험① 플라스크에 물을 넣고 가 ... ...
43만 가구 일시에 정전시킨 '섬락현상'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제시하고 있다. 한창 개발붐에 휩싸인 중국으로부터 황사현상을 방불케 하는 '중국산
눈보라
'가 몰아쳐 빚어낸 사고라는 것.그러나 이번' 중국산
눈보라
'가 기상학 및 전기적으로 설득력 있게 설명돼야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해안 정전은 주목을 끄는 연구대상이다.한편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것을 실감했으니까요.노영―천수만을 탐사했던 것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눈보라
가 치다보니 어려움이 많았지만 가장 많은 조류를 볼 수 있었고 식별법도 자세히 배웠습니다. 천수만 A지구에서 기대했던 황새가 출현은 했으나 촬영에 실패한 점이 못내 아쉽습니다. 밀렵꾼들의 총성에 새들이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한다.제주도의 협재굴에서 3km정도 떨어진 곳에 소천굴이 있다. 필자는 어느 겨울
눈보라
가 심한 날 이 굴을 찾아간 일이 있다. 밖은 추워서 모든 식물이 떨고 있었는데 굴안은 김이 자욱한 온실이었다. 이 굴안에 들어섰더니 돌토끼고사리 석위 및 도깨비고비가 문을 지키고, 누운괴불이끼 ... ...
동물들의 여름나기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팽권도 내한성이 강한 것으로 유명하다. 더구나 이 새는 영하 수십도, 시속 40~50㎞의
눈보라
(Blizzard) 속에서 알을 낳은 뒤 품어서 그 알을 깨게 한다. 그것도 아무것도 먹지 않은 채로.방금 든 예는 온혈동물이 영하의 온도에서 견딜 수 있는 극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이 그 혹한을 이길 수 있게 된 ... ...
수컷은 훨훨, 암컷은 자루 속에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하는데, 연필만한 굵기의 나뭇가지에다 토사한 실을 몇번씩 되풀이해 감는다. 겨울에
눈보라
가 쳐도 도롱이가 떨어지지 않게 튼튼한 띠를 만들기 위함이다. 중부 이북에는 살지 않는다왕도롱이벌레는 열대성 곤충이므로 중부 이북에는 살지 않는다. 필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전라북도 군산 ... ...
PARTⅡ 태양계탐사의 선두주자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로켓을 개발해냈다. 그 위에 탑재되는 왕복선은 '부란'이란 이름이 붙어 있다. 부란이란 '
눈보라
'를 의미한다고 한다.88년에 첫선을 보인 소련의 우주왕복선은 전장 65m로 모습이 미국 것과 거의 비슷하다. 이것은 필요에 따라 65~2백t의 짐을 우주공간에 나를 수가 있고 40m나 되는 긴 물건도 운반할 수 ... ...
PART2 다가온 우주레저 시대 첫 우주관광여행은 1999년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도전미국의 우주왕복선이 처녀비행을 시작한지 7년 뒤인 1988년 11월 15일 소련은 '부란'(
눈보라
)이라는 이름의 첫번째 무인우주왕복선을 발사했다. 부란은 성공적으로 임무를 달성한 뒤 무선조정에 의해 혼자 무사히 착륙했다. 부란은 그 뒤 아직 아무런 활동을 보이지 않고 있는데, 곧 또다시 발사될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