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님
여행자
여객
내빈
방랑자
길손
여행객
d라이브러리
"
나그네
"(으)로 총 55건 검색되었습니다.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열대 내지는 아열대지방의 월동지 사이를 이동하는중에 을숙도일대에 잠깐 쉬어가는
나그네
새는 매년 4~5월경 번식지로 북상할 때와,9~10월경 월동지로 남하할 때 찾아들며, 이들 조류는 대부분 도요과(중부리도요 아마도요 흑꼬리도요 학도요붉은발도요 삑삑도요 외에 10여종)와 물떼새과 ... ...
소립자가 소용돌이 친다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이제 자네가 원하는 대학에서 교수가 될 수 있게 되었네’라고 격려할 때 먼 길을 헤매던
나그네
가 목적하는 기착지가 보이는 산마루 위에 올라선 기분이었다”자연의 오묘한 중층구조‘유가와’교수의 중간자 이론은 핵물리의 본격적인 연구시대를 열어 놓았다. 1950년대에 이르러 가속기의 발달에 ... ...
진화과정을 증명하는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열대 강우림이 발달한다. 울창한 원생림 속에 열린 2차림에 부채처럼 잎을 펼치고 있는
나그네
나무는 국가의 문장이 되어 있는 마다가스카르의 상징적 식물이다. 이 지역의 남단에 분포하는 네펜테스·마다가스카리엔시스는 식충식물로 독특한 칡나무속의 예외적 분포라고 알려져 있다.중앙고원의 ... ...
백두산-동북아 최상의 새들의 낙원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시작하는데, 한배의 산란수는 4~6개. 포란기간은 13~14일. 한반도에서는 매우 희귀한
나그네
새. □노랑눈썹솔새와 노랑허리솔새 전자는 해발 4백~8백m 활엽수림과 8백~1천m 혼효림에서 흔히 번식하며, 후자는 8백~1천8백m 혼효림과 침엽수림, 그리고 1천8백~2천1백m 침엽수림의 대표적인 흔한 여름새이다. ... ...
조류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철새는 1백 11종의 겨울새와 64종의 여름새, 봄 가을에 우리나라를 거쳐가는 90종의
나그네
새(통과새) 등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들새의 약 70% 이상이 철새이고, 텃새는 13% 남짓한 셈이다. 미조는 어쩌다가 우연히 한반도에 기착하거나 날아드는 새를 말하는데 간혹 한마리씩 혹은 떼를 ... ...
이전
2
3
4
5
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