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증"(으)로 총 242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불리기도 했습니다.1961년, DEC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에 PDP-1을 연구용으로 기증합니다. 당시 공대생이었던 스티브 러셀은 연구원들과 함께 디스플레이 스크린(모니터)의 성능을 보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합니다. 이것이 바로 슈팅 게임 ‘스페이스워!’지요.스페이스워!는 비행기가 ...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를 수확해 집으로 가져갔다. 남은 것은 고아원이나 난민 등 지역사회의 필요한 곳에 기증했다.이 프로젝트의 성과는 놀라웠다. 학교에 잘 나오지 않던 학생들이 재배를 계기로 학교에 나와 출석률이 올라갔고, 학업 태도도 좋아져 상급학교 진학률도 올라갔다. 또 식생활도 개선돼 빈곤 지역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천연기념물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매머드 피부와 털 화석도 포함돼 있지요. 이렇게 찾은 화석들을 조국의 어린이들을 위해 기증해 주시기로 하신 거예요.”올해 6월, 무려 1300점 이상의 신생대 포유류 화석이 우리나라에 도착했어요. 이 가운데 털매머드의 피부와 머리뼈, 상아, 이빨 등 30여 개의 화석이 먼저 전시되고 있는 거랍니다.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폐기종이 심각하게 진행된 환자는 폐 이식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는데, 조건이 맞는 기증자가 턱없이 부족한 데다 대개 폐를 이식해줄 수 있는 뇌사환자는 오랜 중환자실 생활로 인해 건강한 폐를 가진 경우가 드물다.황 박사는 폐가 프랙탈 구조를 띤다는 점에 착안했다. ‘그렇다면 폐기종의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정치외교 고문이었던 미국인 데니에게 하사했다가 그의 후손이 우리나라에 다시 기증한 태극기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입니다. 태극 모양과 ‘건곤감리’라 부르는 4괘의 색깔도 지금의 태극기와 다르답니다. 계산 성당을 지나 이상화 시인의 고택으로 가는 길 위에서도 타일로 만든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들어온다.장기저장고 내부는 마치 도서관과 같았다. 종자를 병에 넣고 밀봉한 뒤 기증한 기관별로 구역을 나눠 보관했다. 병마다 QR코드가 붙어 있어 컴퓨터로 미리 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들어올 수 있다. 덕분에 신속히 작업할 수 있다.냉동실보다 온도가 낮은 저장고 내부에 성애가 생기지 않는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엑스선 방법에 사용한 수만 장의 엑스선 필름들, 그리고 시체농장에 들어오는 수많은 기증자들이 바로 데이터다.한국엔 한 해 평균 120건 이상 백골 시체가 발견된 다. 이들이 모두 유가족에게 성공적으로 돌아가려면 한국만의 법의인류학적 데이터가 필요하다. 머지않은 미래에 한국에도 시체농장이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검증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돼 왔다. 과학 발전을 위해 자신의 몸을 써달라는 기증자들의 숭고한 의지와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연구에 매진하는 법의인류학자들의 열의가 경이로울 정도로 조화를 이루는 곳이 바로 시체농장이다.최근 우리나라 전문가들과 법의인류학센터의 교류가 늘고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할 수 있다”며 “그러나 독일의 이식법이 미성년자를 보호하기 위해 미성년자의 기증을 처음부터 금지하고 있는 취지를 이해해야 한다”고 밝혔다.하 연구원은 “이 같은 문제들에 대해 우리 의료계와 정부가 책임 있게 응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생명윤리 문제가 발생했을 때 보통 외국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것처럼, 배아가 만들어질 때도 익숙한 모계 DNA가 주선자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즉, 기증자 B의 미토콘드리아는 A의 난자에 들어선 순간 ‘천애의 고아’가 돼, 이전처럼 외부 DNA에 적응하지 못할 수도 있다. 다울링 교수는 “난자가 만들어질 때 미토콘드리아와 가장 궁합이 잘 맞는 DNA가 자연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