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영학과
경영
행정
경영 관리
경영경제학
경영학부
d라이브러리
"
경영학
"(으)로 총 9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공에 맞는 일관성 있는 활동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교사를 비롯한 주위의 아낌없는 격려와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 D고교 2학년 남학생은
경영학
을 전공해 CEO가 되는 것이 꿈이었고 동아리 활동으로 풍물패를 하고 있었다. 이 학생에게 어버이날 동네 노인잔치에서 효도공연을 해보라고 권유했다. 또 명절마다 지역 상권을 돌면서 불우이웃과 ... ...
‘꿈’이 필요한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그림에도 소질이 있음을 알게 됐다. 결국 학생은 진실한 눈빛으로 컴퓨터공학과(
경영학
복수전공) 진학을 목표로 공부하기로 약속했다. 학생을 설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프로게이머 전성시대를 누리고 있는 선수들의 데뷔 나이가 17세인데 본인은 이미 게임영재가 아니며, 프로게이머의 ... ...
창의성 높이는 공간 만드는 신경건축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천장 높이가 인간의 창의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미국 미네소타대
경영학
과 조운 메이어스-레비 교수는 천장 높이가 각각 2.4m, 2.7m, 3m인 세 건물에서 실험 참가자들에게 창의적인 문제(두 개의 서로 다른 개념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문제)와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 ... ...
창의설계 및 생산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 적합하다. 공학 뿐 아니라 인문·사회과학이나
경영학
, 예술에도 관심이 많고, 특별히 자신 있는 분야가 있어 다른 사람의 연구를 지원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인간관계가 연구와 연결되기 때문에 원만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된다. 창의적인 사고를 하고 ... ...
공학에서 찾는 경영의 지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딱 잘라 말하기 어렵네요. 기술경영이라는 이름에서 연상할 수 있듯이 우리는 공학과
경영학
을 접목했을 때 그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산업을 분석하고 가능성을 예측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니 더 어려운가요?”(웃음)박 교수의 연구실에서 초창기에 진행했던 연구는 ... ...
기술과 경영의 다리가 되어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할 수 있다.오랫동안 이과와 문과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다른 세계를 구축해왔다. 공학과
경영학
은 서로 다른 기준으로 다른 해석을 해왔고 엔지니어와 경영자는 서로 다른 언어로 다른 이야기를 해 왔다. 이들을 이어주는 튼튼한 다리(bridge)와 이들을 한데 아우르는 용광로(melting pot)를 구축하는 ... ...
의학 및
경영학
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이라면?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의료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의료경영대학원을 찾고 있다.4. 앞으로 의료
경영학
의 전망은 어때요?사람들은 소득수준이 높아지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다. 관심이 많다보면 관련 산업에 투자가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에서도 보건의료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 ...
경영학
에 흥미가 있는 이과계열 학생이라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문제점을 분석해 효율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주는 일입니다. 통계를 보면 문과에서는
경영학
및 경제학 전공자들이, 이과에서는 산업공학 전공자들이 많이 진출하고 있습니다. 물론 컨설팅을 하려면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특정 학과를 전공했다고 유리한 것은 아닙니다. 회사가 원하는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수 있다”고 덧붙였다.경동장학재단 vs. 정문술 파이오니어2009년 3월 개교하는 이공계 및
경영학
분야의 특성화대학인 울산과학기술대(UNIST)의 대표는 에너지공학부다. 지난 8월 울산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학교 안에 에너지연구원 분원을 설치하기로 합의했으며 미국 조지아공대와도 ... ...
2. 기업의 또 다른 힘 멘토링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최근에는 “미래 조직에서 가장 강력한 인재육성 도구는 멘토링”이라고 강조한 ‘현대
경영학
의 대부’ 피터 드러커의 말처럼 인재개발의 도구로 발전하고 있다. 신입사원 퇴사 막는 법최근 극심한 취업난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정규직으로 뽑힌 신입사원 10명 중 3명이 퇴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