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겁"(으)로 총 2,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고쳤잖아요? 결국 실패는 정면으로 마주해 자양분으로 만든다면 그걸로 오케이란 겁니다. 안혜정 KAIST 실패연구소 연구교수에게 과학동아 독자들이 어떻게 하면 실패를 성공적으로 다룰 수 있을지 조언을 청했습니다. 안 교수는 “KAIST 학생들이 그랬던 것처럼, 일상에서 벌어지는 실패의 순간들을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그 사실이 잘 알려지지 않았을 수 있고, 혹은 우리와 소통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는 겁니다. 칼 세이건이 “이렇게 넓은 우주에 우리밖에 없다면 그것은 공간 낭비다”란 말을 했죠. 저도 여기에 동의합니다. 외계인은 있지만, 여러 이유로 아직 지구에 닿지 않았을 거란 가설도 세울 수 있습니다. ... ...
-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적은 단 한 번도 없다”고 말했어요. 돌고 돌아왔지만 결국 자신에게 꼭 맞는 길을 찾은 겁니다. _ 인터뷰젊은 물리학자가 기억하는 위튼 교수서선옥 KAIST 물리학과 교수 교수님은 옳은 것을 하려는 정의감이 강하시고, 후학을 지원하는 데에도 후하신 분이세요. 교수님의 제자들이 곳곳에서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250~300개씩 발견되고 있어요. 앞으로도 유전체 의학과 진단 분야는 꾸준히 성장할 겁니다.” 금 대표의 말이다.“유전체 분석이 앞으로는 사회를 바꿀 것” 많은 독자들에게 희귀 유전질환 진단 서비스는 먼 이야기로 들릴 지도 모른다. 하지만 유전체 분석은 생각보다 훨씬 우리 삶 가까이에 ...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먹고 일하다가 저녁엔 LA에 도착해 저녁밥을 먹고 다시 밤중에 인천으로 돌아올 수 있을 겁니다.” 국제우주대회의 마지막 행사는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CEO와의 화상 대담이었다. 머스크 대표는 화상 대담에서 우주선을 우주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지구에서 이동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 ...
- [기획]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느낄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현장에 모인 관객들과 취재진 모두 그런 기대를 했을 겁니다.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제 별명은 3호선입니다. 좋아하는 여자 친구와 함께 서울 지하철 3호선에 탔을 때 일이었어요. 여자 친구가 ‘너 집에 가서 뭐 할 거야?’라고 물어보길래 ‘네 ...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접합니다. 그들과 비교해서 자신이 잘하고 있는지 막연히 불안해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겁니다. 그런 학생들에게 ‘말을 걸기 위해’ 실패주간 내내 창의학습관 1층에서는 작은 사진전이 열렸습니다.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 프로젝트에서 수집된 장면 중 30개를 선별해 전시했죠. 안 교수는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더 빨리 생기는지, 이 현상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이런 식으로 질문을 확장시키는 겁니다. 답을 당장 몰라도 됩니다. 하지만 궁금해해야 합니다. 떠오르는 질문들을 항상 기록하고 정리하면 도움이 됩니다. 질문은 그냥 떠오르는 것이 아니며, 질문 찾기는 습관입니다. 자기 속의 질문을 꺼내는 ... ...
-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제가 좋아하는 가설은 페루세투스가 다른 대형 동물의 사체를 먹는 청소부였다는 겁니다. 화석이 없으니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는 없지만요.” ‘가장 거대한 동물’은 우리 모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신비로운 표현이다. 그렇지만 동시에, 거대한 동물을 가려내는 일은 애매한 목표이자 어려운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나가려고 하지 않아도 됩니다. 작은 도전의 연속이 연구자들에게 큰 성과를 가져다줄 겁니다.” 도전의 연속이었던 2023 노벨상2023년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들의 연구는 도전적인 질문에서 시작됐다. 그리고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져 현재의 업적을 이룰 수 있었다.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