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금
좁은 틈새
돌파구
절리
d라이브러리
"
갈라진 틈
"(으)로 총 69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다양하다. 찰싹 달라붙는 수영복이나 바지를 입으면 천이 국부의
갈라진
틈
에 끼어서 호기심 많은 남자의 눈에는 그 형태가 금새 드러난다. 거웃이 무성한 불두덩에 색상이 다른 헝겊 조각을 대거나 음부의 모양을 본뜬 천을 붙인 팬티나 수영복으로 성기의 존재를 과시할 수 있다. 그러나 성기의 ... ...
인류 최고의 에너지 자원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석유가 나올 것이라고 착각한다. 하지만 석유가 실제로 있는 곳은 암석이
갈라진
틈
이나 입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작은 공극들이다. 따라서 공극이 많은 암석일수록 더 많은 석유를 저장할 수 있고 뽑아내기도 쉽다.일반적으로 공극률[(공극의 부피÷암석의 부피)×100]이 15%가 넘으면 좋은 저류암 ... ...
남반구 밤하늘 환상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5분우리가 볼 수 있는 성운 중에서 가장 큰 성운으로 가운데 기억자(ㄱ)로
갈라진
틈
이 중세의 열쇠구멍 같다고 해서 열쇠구멍성운으로도 불린다. 주변부가 은하수여서 무척 많은 별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슬라이드 필름을 이용했기 때문에 네가 필름 상에서 보이는 성운의 크기보다 작게 ... ...
인간진화, 성공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다윈핀치의 일종인 나무쪼기핀치(Camarhynchus)다. 이 새는 나무가지 사이의
갈라진
틈
에 사는 벌레를 잡아먹는데, 이를 위해 나름대로의 도구를 사용한다. 관찰에 의하면 이 새는 먼저 선인장 가시나 작은 나무가지를 찾아내어 부리로 그것을 문다. 경우에 따라서는 물기 좋도록 가시나 나무가지를 ... ...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것으로 나타 났다.이런 상황에서도 대구와 부산의 명암이 뚜렷하게
갈라진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가 어려웠다. 1회 대회(92년) ... 일과 8일 양일 동안 기상대의 예보와는 달리 태풍이 남쪽에서 방황하는
틈
을 타 서울을 제외한 9군데서 관측을 성공시켰다.하루만 관측이 되고 구름 ... ...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것이다.20억년전 과거로 노새를 타고 갈 수 있다. 지구 표면이 가장 깊게
갈라진
틈
은 미국 서부에 있는 그랜드 캐년이다. 노새를 타고 가면 이 협곡 벼랑 끝에서부터 맨 밑바닥까지 하루가 다 걸리지 않는다.첫번째로 통과하는 암석은 이미 약 2억년이나 오래된 것이다. 그 속에는 포유동물이나 ... ...
최대규모 열수 플룸, 태평양 동쪽 바다서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다량으로 포함돼 있는 것이 밝혀졌다.열수활동은 바닷물이 해저 암석의
갈라진
틈
으로 들어가 마그마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져 다시 분출되는 현상. 분출공 주변에는 금속광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수광산으로 주목되기도 한다. 또한 이 풍부한 자원을 기반으로 독특한 생물들이 특이한 생태계를 ...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가장 무서운 장애물의 하나가 되고 있다. 해빙
틈
으로 빠지면 거의 틀림없이 바다에 떨어지기 ... 시야상실 폭설풍 등의 현상이 있다. 얼음이
갈라진
틈
으로 빠질 위험이 있으며 흐린 날에는 시야를 상실해 거리나 지형을 구별할 수 없다. 심한 바람에 눈이 날려 불과 몇m 앞이 보이지 않는 경우도 종종 ... ...
식어가는 온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해야하는 일이란 증기로 가득한 바위의
틈
속으로 수많은 구멍을 파고서 열기와 함께 전기가 ... 에너지를 공급받기에는 암석이나 온천지대의
갈라진
틈
바구니에 물이 부족하다는 사실이 누구에게나 명백하게 인식되고 있는데도 개발은 현재 진행중이다. 사실 캘리포니아주 에너지 위원회는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다.그의 가설에 따르면 해저는 불변의 것이 아니다. 그는 중앙해령의
갈라진
틈
을 따라 맨틀로부터 뜨거운 용암이 솟아 오르기 때문에 해령주위에서 높은 열이 방출된다고 설명 했다. 헤스는 또 용암이 식으면서 현무암질의 해양지각을 형성하고 서서히 해령의 양쪽으로 이동하는데 먼저 생성된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