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합당
d라이브러리
"
합리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
과학동아
l
201504
반영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선 이제 막 시작하는 분야입니다.”소비자의 행동은
합리
적이지만은 않다. 상당부분 무의식에 기반한다. 설문지로는 파악할 수 없는 이 지점을 뉴로마케팅은 좀 더 정확히 포착할 수 있다. 때문에 윤리문제도 있다. “신상품에 대한 불특정다수의 반응이 궁금할 때 ... ...
[재미] 차가운 숫자가 말해주는 사랑의 조건 無조건, 자신감, 솔직함
수학동아
l
201504
연애 세포마저 사라지는 건 아닐까?’하는 걱정마저 듭니다. 이런 걱정을 한방에 날려줄
합리
적이고도 냉철한 연애상담이 찾아 왔습니다. 지금부터 시작합니다.안녕하세요? 이군, 잘 지내셨나요?네.하하. 더 추워지기 전에 바로 사연으로 들어가겠습니다.안녕하세요? ... ...
[생활] 수학을 알면 야구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503
선수들의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선수의 가치를
합리
적으로 나타내는 수치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시즌을 예측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행운과 불운을 계산한다: 베이스런운은 야구 경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루는 2사 1루에서 큰 점수를 얻는 반면, 다음 날은 ... ...
PART2. 대기업 인사담당자의 솔직토크
과학동아
l
201503
기업일수록 이공계 출신의 논리적인 일처리 방식을 선호한다. 안 교수는 “대기업에서는
합리
적인 일처리가 효율적”이라면서 “삼성그룹에서는 제조업과 관련이 없는 삼성에버랜드(제일모직) 같은 회사에도 이공계 인력이 많이 배치된다”고 설명했다. ③표현하는 공대생이 되라그러나 안 ... ...
[수학뉴스] 계산 실력이 미래의 지갑 두께를 결정한다?!
수학동아
l
201501
자신이 얼마나 돈을 쓰고 있는지 정확히 파악했다. 숫자 파악 능력이 뛰어난 사람도
합리
적인 투자를 할 줄 알았다.하지만 주관적 계산 능력만 뛰어난 사람은 자신이 매력적이라고 믿으면 과감히 돈을 쓰는 경향을 보였다. 과도한 자신감으로 무리한 투자를 한 것이다.엘렌 피터스 오하이오 주립대 ... ...
너무 무서우면 병? 공포증 탈출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4
불안해지며, 심한 경우 공황 발작 상태가 된다.□ 자신의 두려움이 지나치거나 비
합리
적인 것임을 잘 알고 있다. ‘공포대상’이 나를 해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어 겁을 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두렵다.□ ‘공포대상’이 있는 곳은 불안에 떨며 지나가거나 아예 돌아간다.□ ... ...
[life & tech] ‘강철 멘탈’ 되는 법
과학동아
l
201412
잘못이 아니야’라는 책임 회피나 ‘애초에 그 일은 나에게 별로 중요하지 않아’ 같은
합리
화 전략을 많이 쓴다.자신에게 너그러울수록 발전 가능성도 커미국 듀크대 심리학과 마크 리어리 교수도 비슷한 결과를 내놓았다. 참가자에게 인생에서 가장 큰 실패를 떠올리게 하고 두 가지 방향으로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12
산을 오르는 것에 비유하면서 “수학에서는 정상에 오르는 여러 경로 중 가장 단순하고
합리
적인 길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에 이시가미 선생이 “수학에는 세기의 난제 같이 오를 수 없는 산이 있다”고 응대하자 유카와 교수는 세기의 난제 중 하나인 리만 가설을 부정하는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
과학동아
l
201409
지난 칼럼에 “귀신 같은 건 없다”고 쓰는 대신 “귀신 같은 건 없다고 생각하는 게
합리
적입니다”라고 쓴 겁니다. 과학적으로 검증된 증거가 이 정도로 없는 것으로 봐서 귀신이 있을 확률은 지극히 낮아 보이거든요.그나저나 에디슨이 귀신의 목소리를 듣고 지하실에서 관을 발견했다는 ... ...
귀신 여러분~찍습니다~김치!
과학동아
l
201407
이때의 기묘한 경험을 귀신으로 착각하는 겁니다. 역시 귀신 같은 건 없다고 생각하는 게
합리
적입니다. 인간의 감각이 불완전하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개인적인 체험은 믿을 수 없습니다. 게다가 그런 체험이란 건 문화나 전부터 알고 있던 이야기의 영향을 많이 받거든요. 아! 오해는 마세요. 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