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풍부함"(으)로 총 1,64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날 예정과학동아 l201702
- 미국 웨슬리언대 연구팀이 보이저 1, 2호가 날아갈 태양계 밖 우주 항로의 환경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 세스 레드필드 천문학과 교수팀은 보이저 1, 2호의 항로에서 성간구름 여러 개를 발견했다고 ‘미국천문학회’ 연례회의에서 1월 6일발표했다. 향후 외계 행성 탐사선을 보낼 때 참고할 수 ... ...
- [Future] 최초의 화성 집, 물로 짓는다과학동아 l201702
- 부풀려서 채우면 끝오랜 비행으로 당신도 절절하게 체감했겠지만, 지구와 화성은 아주 멉니다. 가장 멀 때는 약 4억 100만km, 가장 가까울 때도 약 5460만km나 되죠. 오래 걸리는 만큼 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 지구에서 국제우주정거장으로 1kg의 물건을 보내는 데에도 100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듭니다. ... ...
- [BJ맹추의 먹방 TV] 수학적으로 잘 먹어 보자!수학동아 l201702
-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BJ맹추의 먹방 채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음식을 먹을 때도 수학을 생각한다는 게스트 다솔 양을 모시고 음식을 먹을 때 필요한 꿀팁을 알려드릴 테니 많은 기대 바랍니다. 방송이 재미있으면 추천버튼 꾸~욱 눌러 주시고요! 자, 그럼 제가 좋아하는 달걀부터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02
- 줄기세포 연구는 iPS세포가 나오기 전과 후로 나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2006년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교수팀은 배아세포에서 활성화되는 네 종의 유전자를 쥐의 피부세포에 도입시켜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특성을 갖는 만능줄기세포로 역분화시켰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유도만능줄기세포 ... ...
- [사이언스 010] 맛의 과학과학동아 l201702
- 혀뿐만 아니라 눈, 코, 입, 귀, 장기 등을 통해 느낀 여러 감각을 뇌가 종합해 ‘맛있다’라는 판단을 내리면, 우리는 그 음식을 ‘맛있는 음식’이라고 기억하게 된다. 맛은 철저히 공감각적 현상이기 때문이다.내장 미각내장에는 입 안에 있는 맛 수용체와 같은 수용체가 있어서 단맛과 감칠맛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01
- 백악기에 살았던 수컷 공룡들도 구애 행동을 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그 증거를 가진 흔적화석이 지난 2013년, 미국 콜로라도 주에서 발견됐어요. 공룡들은 어떤 행동으로 짝을 유혹했을까요?중생대에 살았던 공룡은 화석을 통해 그 특징이나 형태를 알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공룡의 화석은 골 ... ...
- [Photo] 탄자나이트(Tanzanite) 떠오르는 탄자니아의 희망과학동아 l201701
- 푸른바다를 담은 듯한 이 광물은, 사파이어에 비견되는 아름다움으로 주목받는 보석 탄자나이트의 원석이다. 이 보석은 결정 방향에 따라 푸른색, 자주색, 적포도주빛 붉은색 등 세 가지 색상을 보이고, 광원에 따라 조금씩 다른 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탄자나이트는 킬리만자로 산 가까이에 위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천연기념물센터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매머드, 시베리아에서 우리나라로!천연기념물센터에 도착하자 우리나라 척추고생물학의 대가인 임종덕 박사님이 반갑게 맞아 주셨어요.“매머드는 다섯 종류가 있답니다. 그 중 오늘 여러분이 만나 볼 매머드는 ‘털매머드’에 속해요. 약 45만 년 전부터 1만 1000년 전까지 살았던 매머드로, 이름 ... ...
- Part 4. 여기로 가 보자! 신종 발견지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환경이나 생김새 등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변화가 신종을 만들어냈다는 사실을 알았어. 난 환경이 특이하거나 다른 사람이 가기 힘든 곳부터 가 보기로 했어. 이제 본격적으로 신종 탐험에 나서 볼까?밀림에서 새 포유동물을 찾을 수 있다?열대우림은 신종을 포함한 신비한 동물이 ... ...
- [요리교실] 대하로 즐기는 스페인 요리 '대하 까수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대하(大蝦)’는 이름 그대로 몸집이 큰새우를 말한다. 가을이 되면 완전히 성장한 새우가 더 깊은 바다로 나가기 위해 이동하는데, 이때가 새우의 살이 통통하고 맛이 가장 좋다. 특히 이 시기의 대하는 아미노산과 칼슘, 철분 등 영양소가 풍부해 뼈 건강과 피로 회복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자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