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으)로 총 4,58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07
- 이끄는 NASA 존슨우주센터의 이글웍스연구소 연구팀은 진공 상태에서 실험한 결과, 전자기파 추력기가 실제로 작동했다고 밝혔다(doi:10.2514/1.B36120). 원리는 아직 불분명하고, 실험 결과 역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지만 그 동안 회의적이었던 과학자들의 생각을 일부 바꿨다. 최 교수는 “물리법칙을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07
-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악의적인 행동 같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자신과 자기 자식들이 자원을 둘러싼 이웃들과의 경쟁에서 이기게 해주는 이기적인 행동이다. 마찬가지로, 병역 기피 연예인이 보도된 인터넷 기사에 굳이 악플을 다는 행동처럼, 제삼자에 대한 인간의 도덕적 처벌도 ‘너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07
- 일단 백신이 안전하지 않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 뒤에는 그 생각을 바꾸기가 무척 어렵다. 자기 믿음과일치하는 정보는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정보는 무시하는 ‘확증 편향’이나 자신이 믿고 있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정보만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정보는 외면하는 ‘동기화된 추론’, 자신의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마트폰으로 만드는 소프트웨어! 액션코딩 아이팝콘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아이팝콘 기기에서 사용해야 하는 센서는 ‘가속도 센서’랍니다. 멈춰 있던 물체가 갑자기 움직이면 순간적으로 물체의 속도가 변해요. 가속도 센서는 이를 감지하지요.표적에 아이팝콘 기기를 달면 표적이 쓰러질 때 아이팝콘도 같이 쓰러질 거예요. 그러면 아이팝콘 기기의 가속도 센서가 이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07
- 그리고 정말로 잠이 드는지 아기의 움직임은 완전히 없어지는 듯 했다.그런데 돌연 갑자기 다시 아기가 눈꺼풀을 찡그러뜨리고 입을 씰룩이기 시작했다.“아, 안 돼!”“황제 폐하, 황제 폐하, 토착 생명체가, 토착 생명체가!”그리고 아기는 다시 울기 시작했다. 치클과 황제는 너무나 실망하여, ... ...
- [과학뉴스] 욕망이 들끓는 시대의 슬픈 자화상, 대마초와 해피벌룬과학동아 l201707
- 높여서 강한 쾌감을 준다. 하위스 교수는 장기간 대마초를 흡연한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촬영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대마초가 도파민 분비와 흡수에 문제를 일으킨다고 지적했다. 하위스 교수는 또 많은 양의 대마초 흡연은 뇌의 도파민 보상 회로에 문제를 일으켜 우울증 ... ...
- [Issue] 흙, 불, 바람 그리고 시간··· 도자기를 완성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707
- 완성된 도자기의 유약 색상과 결정 구조, 구성 성분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도자기가 소성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응들을 과학적으로 규명한다. 황 교수는 “현재 보관 중인 30만 개의 시편 데이터를 정리해서 세라믹 도서관을 만드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 ... ...
- [Culture] 마음은 내 삶의 사진이다과학동아 l201707
- 연구팀은 한 사람의 뇌파 정보를 다른 사람의 뇌에 입력시키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뇌에 입력시키는 외부 정보, 즉 다른사람의 뇌파 정보에 따라 행동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doi:10.1371/journal.pone.0111332).물론 우리는 내 의지에 따라 말하고 행동한다고 자신한다. 하지만 우리는 ... ...
- Part 3. 인체, 백신을 기억하다과학동아 l201707
- 사람이나 동물의 항체를 주입해 수동면역으로 병을 치료하기도 한다.능동면역은 자기 자신의 면역체계에 의해 만들어지며 대부분 평생 지속된다. 능동면역은 병원체에 감염되거나 백신 접종으로 획득할 수 있다(위 그림). 병원체와 백신이 항원으로 인식돼 면역이 생기는 기전은 서로 매우 비슷하다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06
- 작곡가가 혼자서가 아니라 다른 작곡가와 소통하며 창작 활동을 한다고 봤다. 그래서 자기 경험에 따라 작곡을 하기도 하지만 동료 작곡가에게 새로운 정보를 얻어 더 좋은 곡을 만들기도 한다. 스스로 작곡하는 것과 정보의 교환이 반복되면서 음악적 작곡법 알고리즘은 최적해를 찾는다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