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실
로스
상실
d라이브러리
"
유실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4 자원으로서의 흙
과학동아
l
199301
화학적 풍화작용이 심하게 진행되는 열대나 아열대 지역에서는 규소가 완전히
유실
되고 알루미늄만 남아서 수산화 알루미늄을 형성한다.따라서 열대나 아열대 지역에서는 산화철 광물과 수산화알루미늄광물로 구성되는 라테라이트가 생성되지만 그보다 풍화작용이 보다 약하게 일어나는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01
토양수를 따라 경사가 낮은 지역으로 빠져 나간다. 반면 경사가 낮은 지역에서는 토양
유실
이 제한되고, 오히려 토양화작용에 필요한 물질들을 외부에서 공급받을 수 있다. 경사지의 토양에서는 이러한 지형차이에 의해 일련의 연속적인 사면토양군(斜面土壤群), 즉 카테나(catena)가 형성된다.토양의 ... ...
황사현상의 진원지를 가다
과학동아
l
199205
하고 이곳에 동굴을 파서 주택으로 이용해 왔다. 이러한 경지개간은 비가 올 때 표토가
유실
됨을 막고 또 바람에 의한 수분증발과 표토의 날려감을 극소화해 준다. 그리고 혈거생활(穴居生活)은 석재와 목재의 조달이 어려운 황토지대에서 심한 기온 연교차와 강풍 등을 극복하게 하는 딱 알맞은 ... ...
신안 해저유물선 인양, 그후 8년
과학동아
l
199203
부식돼 사라져버렸을 것이다.물론 신안선의 경우에도 세월이 흐르는 동안 많은 부분이
유실
됐다. 실제로 신안 앞바다에서 인양한 배조각들은 전체의 40% 남짓에 불과하다. 전문용어로 말하면 회수율이 40% 인데, 이 정도면 원형을 복원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은 없다고 한다. 비록 선실과 갑판은 ... ...
하와이제도는 사라질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01
하와이제도 전체를 일시에 강타할지도 모른다는 게 연구자들의 주장이다.오아후의
유실
(流失)은 약 1백만년에 걸쳐 진행됐지만 사라져버린 땅이 확인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일련의 해양학조사를 통해 사태(landslide)의 잔재들이 발견되고 이로써 보다 정밀한 지도가 작성됐는데, 파편들 중에는 한쪽 ... ...
한반도 자연과 밀접한 관계 드러낸 중국동북지방의 식물
과학동아
l
199201
가정할 경우에 형성될 수 있는 최고의 숲을 '잠재자연식생'이라 부른다. 그러므로 토양의
유실
과 같은 뚜렷한 토지의 변화가 없는 한, 어떤 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이란 바로 이 지역에 아주 단편적으로 남아 있는 원시림(원식생)을 의미하게 된다. 잠재자연식생은 그 지역의 자연적인 유전자를 모두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10
기후는 대기중의 수증기량(vapor blanket)이 현재보다 많아서 대기를 통한 태양복사열의
유실
이 방지됐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다량의 수증기는 후에 심한 화산활동으로 인해 생성된 미세한 화산재들에 의해 응결돼 다량의 강수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중생대 석탄기에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09
이용한다거나 한정된 종류의 알만을 부화시킨다면 몇개의 중요한 유전자들은 완전히
유실
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유전자 수준의 다양성 외에 종족의 멸종도 두드러진다. 이런 경향은 한 지역의 송어를 새로운 지역으로 옮겨놓았을 때 흔히 볼 수있는데 이식종은 토착종과 교배해 새끼를 낳지만 그 ... ...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08
의문이 따른다. 예를 들면 암모늄염 인산의 형태로 영양염을 해수에 뿌려도 금세 확산,
유실
되어 버림으로 말미암아 오염구역에 남아있지 않을 것이라는 점, 또 인산염은 해수수중의 다량의 칼슘염과 결합하면 불용화되어 침전된다는 점 등이 난점으로 지적된다. 또한 다량의 질소 인의 첨가에 의한 ... ...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04
두면 비바람에 흙이 씻겨 내려간다. 이때 야생잔디와 같은 잡초를 심으면 표토의
유실
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묘지에 잔디를 입히는 것도 그 좋은 예일 것이다.잡초는 중요한 유기물 자원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농경지는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유기물 함량이 낮으므로 비(非)농경지에는 가급적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