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출판
연속방영
그을음
그스름
끄름
매연
연재만화
d라이브러리
"
연재
"(으)로 총 25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금, 천연 좋아할 것 없고, 합성 싫어할 것 없다
과학동아
l
201303
재료로 만들었다고 홍보합니다. 집에 하나 있다면 뭐라고 쓰여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이
연재
의 성격에 걸맞게 ‘천연’이라는 단어를 삐딱하게 바라봅시다. 어떻게 보면 천연 물질이라는 건 그 안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모른다는 뜻입니다. 천연 물질에는 온갖 성분이 다 들어 있을 수 있습니다. ... ...
걷지 말고 뛰어라! 런닝맨 수학놀이의 神 은 누구?
수학동아
l
201303
영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퍼즐 발명가로 불린다. 주로 신문과 잡지에 수학 퍼즐을
연재
하면서 활동했는데, ‘SEND+MORE=MONEY’처럼 문자의 뜻까지 통하는 복면산을 만들었다. 3. 마틴 가드너(1914~2010)20세기 최고의 놀이 수학 전문가로 꼽힌다. 종이를 접어 만든 6면체인 플렉사곤과 정사각형 퍼즐인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
과학동아
l
201301
‘과학은 문화다’라는 뜻인 ‘사이언스 이즈 컬처’다. 미국의 과학잡지 ‘씨드’에
연재
된 대담을 모은 이 책은 파격적인 구성과 과감하고 상상력 넘치는 주제, 그리고 빼어난 인물 섭외로 눈길을 사로잡는다. 예를 들면 핑커 교수는 ‘의식의 문제’를 주제로 대담을 나누는데, 상대는 소설가다. ... ...
새로운 어과동으로 토론의 신 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4
‘어린이과학동아’의 부록과 만화가 확~ 바뀝니다.서울시 교육청 추천도서인 ‘초등 과학동아 토론왕’ 시리즈와 새
연재
만화 ‘토론의 신’이 여러분을 찾아갑니다.2013년, ‘어린이과학동아’의 새로운 부록과 만화를 통해 새해에는 진짜 토론의 신이 되어 보세요! ...
만화에 기술을 담다 조남호엔지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2
꿈을 버리지 않았지요. 그래서 블로그나 사내 홈페이지에 업무와 관련된 만화를 그려서
연재
하고 있답니다. 정보통신과 관련된 공부를 하고 일을 한 것이 바탕이 되어 다른 사람과 차별되는 만화를 그릴 수 있는 것도 장점이라고 생각해요. 내년쯤에는 전공과 직업 특성을 살려 IT와 관련한 책을 만들 ... ...
만화로 배우는 유쾌한 생물학! 신인철 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0
함께 만든 책이에요. 분자생물학회에서 내는 소식지에 ‘대학원생 블루스’라는 만화를
연재
했었어요. 공부와 실험을 하면서 틈이 날 때마다 일상 생활을 만화로 그리기 시작했죠. 그러던 어느 날 교수님께서 저를 부르셔서 대학원생들이 쉽게 실험을 배울 수 있는 책을 만들어 보자고 하셨어요. ... ...
낭만 프로그램 개발자 김국현프로그래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8
직업을 가진 ‘만능맨’이었어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하는 개발자이자, 신문에 칼럼을
연재
하는 IT칼럼리스트, 책을 쓰는 작가, 웹툰을 그리는 만화가까지…. 이 모든 것이 작가님의 직업이래요. 정말 대단하죠?저희 아빠가 작가님 만화를 정말 좋아해요. 직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잘 표현했다고 ... ...
만화를 든 흙기사! 현해남교수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6
과학자예요. 제주대학교에서 흙과 비료를 연구하고 농민들이 알기 쉽도록 만화로 그려
연재
하고 있어요.흙이 살아있다고?‘흙’을 연구하시는 현해남 교수님 연구실은 흙보다 화학약품이 많아 마치 화학 실험실 같아 보였어요. 흙을 연구한다는 것은 어떤 걸까요? 또 교수님 만화에는 ‘흙이 살아 ... ...
우리 선생님은 만화가! 옥상헌선생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4
재미있게 읽었다고 응원하는 덧글을 많이 달아 줘서 용기를 얻게 됐어요. 그렇게 계속
연재
한 내용을 책으로 묶은 거예요. 옥상헌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를 졸업한 뒤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었어요. 학교에서 일어난이야기를 웹툰으로 그리는 만화가이기도 하답니다.꿈★은 이루어진다 ... ...
내 머릿속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1212
또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다른 분야와의 융합 연구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재
를 읽는 예비 과학도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뇌공학과 뇌과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해 나가길 기대한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