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engineer
앤지니어
기관수
기관사
d라이브러리
"
엔지니어
"(으)로 총 439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12
있나요?A 공부에 뜻이 있다면 대학원에 진학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대개는 프로그래머,
엔지니어
등으로 취업을 합니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IT 강국이기 때문에 최첨단 기술들을 현장에서 직접 배우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공학부만의 특별한 장점은 창업입니다. 큰 자본 없이 ... ...
햇빛 먹고 전기 만드는 도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1
미래에는 햇빛으로 전기를 만드는 도로가 나올 전망이에요. 미국 전기
엔지니어
인 스콧 브루소는 도로에서 전기를 만들어 가로등이나 신호등을 밝히는 것은 물론, 가정으로 전기를 보내줄 수 있는 ‘태양광도로’를 개발했어요. 태양광도로는 태양전지판 위에 육각형으로 생긴 강화유리를 얹어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09
가지고 있다. 머스크는 모하비 사막을 찾아갔고, 이곳에서 훗날 스페이스X를 함께 창업한
엔지니어
탐 뮐러를 처음 만나 이렇게 물었다. “좀 더 큰 놈도 만들 수 있겠소?” 우주개발의 새로운 역사는 이렇게 시작됐다.스페이스X는 창업 4년 만인 2006년, 첫 발사체 ‘팰컨1’을 발사했다. 우주선 ... ...
만화책에 목소리를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1409
장면마다 인물이 주고받는 대화는 KBS 소속 전문 성우가, 배경효과음은 KBS 음향
엔지니어
들이 더빙했다. 기존 만화책을 애니메이션처럼 즐길 수 있는 콘텐츠인 셈이다. 현재 기존 인터넷과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유료로 서비스하고 있다.오디오 카툰이 처음부터 이렇게 구체적이었던 건 아니다. 그는 ... ...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08
일하고 있다. 페드로 두키는 유일한 스페인 출신 우주인이다. 그는 유럽우주기구(ESA)에서
엔지니어
로 6년간 일하다가 우주인이 됐다. 두키는 우주에서 돌아온 뒤 ESA에서 후배 우주비행사들을 이끌고 있다.아폴로 우주인과 현대 우주인의 차이우주여행 이후 인생의 방향을 크게 튼 사람 대부분이 ... ...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07
수 없었다.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끝없이 노력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소음이었다.
엔지니어
들은 날개 없는 선풍기에서 공기 소용돌이가 생기는 지점을 찾았다. 소음의 주 원인인 소용돌이를 줄이기 위해 통기구를 더 매끄럽게 만들었다. 한 가지 문제가 더 있었다.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에서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07
책을 많이 봐야 자기 철학이 생겨요. 스티브 잡스 전기를 작년에 봤는데 ‘잡스는 최고의
엔지니어
가 갖지 못한 것을 갖고 있었기에 CEO가 됐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모든 분야가 그래요. 마지막 단계에서 다른 사람보다 앞설 수 있는 것은 그 분야의 전문성이 아니라 전혀 엉뚱한 능력이에요.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07
그래픽 작업을 담당하는 루카스 필름에 한국인이 있어 눈길을 끈다. 바로 컴퓨터 그래픽
엔지니어
장유진 씨다. 그녀의 전공은 다름아닌 수학! 장유진씨는 한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루카스필름에 입사하기까지의 과정을 밝혔다.처음 수학만을 전공하던 장유진씨는 서강대 임인성 교수의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405
지금부터 시작이라고!"뉴욕의 대정전, 수학이 필요해!일렉트로가 된 맥스 딜런은 전기
엔지니어
로, 본래 스파이더맨의 열렬한 팬이었다. 그런데 치명적인 사고를 겪게 된 후,전기를 자유자재로 통제할 수 있는 엄청난 능력을 갖게 된다. 이 능력 때문에 뉴욕은 대정전이 일어나 도시 전체가 ... ...
사소함에 담긴 디자인 철학
과학동아
l
201404
접착약이 묻어나 그리 깔끔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은 또다른 동료
엔지니어
들이었다. 이들에게는 근무시간에, 일이 아니라 관심 있는 연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자유시간이 보장됐다. 그래서 1년 반에 걸쳐 틈틈이 재료를 개선하기 위해 연구했고, 포스트잇을 완성할 수 있었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