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aint
sainte
d라이브러리
"
세인트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콤한' 배터리 개발
과학동아
l
200705
나왔다. UPI통신 등 외신들은 물에 녹인 설탕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배터리를 미국
세인트
루이스대 연구팀이 개발했다고 지난 3월 26일 보도했다. 연구팀이 사용한 물질은 설탕을 구성하는 주성분인 글루코스다. 옥수수나 사탕수수 등에서 추출한 글루코스는 현재 바이오 에탄올의 원료로 널리 쓰이고 ... ...
인류 멸종한 지구도 평화롭더라
과학동아
l
200705
딕슨 지음 |이한음 옮김 (승산, 240쪽, 1만 5000원)두걸 딕슨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세인트
앤드루스대에서 지질학과 고생물학을 전공했다. 지구과학과 진화에 대한 글을 많이 썼고 백과사전, 과학교양서를 펴냈다. 여가시간에는 모형만들기나 만화영화 제작에 매달린다. 저서로는 ... ...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02
유럽 전역으로 퍼진 사연배우자 선택에서 열성이 유리하게 작용할 때가 있다. 영국
세인트
앤드류대 피터 프로스트 교수는 지난해 2월 인류학 저널인 ‘진화와 인간행동’에 유럽인의 머리와 눈 색이 성 선택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연구한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빙하기 말 북부 유럽에서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01
일정할수록 젊어 보이기 때문이다.남성은 여성과 상반되는 결과를 보인다. 1998년 영국의
세인트
앤드루스대 데이빗 페렛 교수는 영국인과 일본인의 얼굴을 대상으로 남성의 얼굴은 더욱 남성적으로, 여성의 얼굴은 더욱 여성적으로 만든 뒤 어떤 경우에 매력적으로 보이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12
· 마데이라 · 카나리아 제도 등 의 여러 섬을 연결하며, 다시 남쪽의 아센션섬 및
세인트
헬레나섬으로 뻗어 있다 한국의 초기 고생대 지층인 조선계(朝鮮系)에 속하는 한 통(統) 캄브리아기(紀) 초기에서 오르도비스기 중엽에 걸쳐 퇴적된 조선계 중에서 일반적으로 두꺼운 석회암과 이에 수반된 ... ...
개의 덩치를 결정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0611
세인트
버나드와 치와와는 같은 종이지만 덩치가 50배 이상 차이가 난다. 그런데 이 크기 차이가 유전자 하나에 의한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 ... 종에 따라 덩치를 결정하는 핵심 유전자는 igf-1”이라며 “이 유전자를 조절하면 작은
세인트
버나드와 큰 치와와를 만들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11
졸업하기도 전 남반구를 관측할 계획을 세우고 아프리카대륙 서쪽 남위 16°에 자리한
세인트
헬레나 섬으로 갔다. 이 섬은 당시 영국이 지배하던 최남단 지역이었다. 더구나 북반구의 별도 상당수 볼 수 있어 기준으로 삼을 만한 별도 많았다. 핼리의 아버지는 당시 그리니치 천문대장의 3년치 월급에 ... ...
돌고래도 이름 부르며 대화
과학동아
l
200606
부른다. 나아가 옆에 없는 돌고래 이름을 섞어가며 대화를 나누기도 한다.영국
세인트
앤드루스대 빈센트 재닉 교수팀은 돌고래가 고유한 주파수로 서로를 인식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9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1975년 미국 새러소타만에서 암컷 병코돌고래 14마리를 ... ...
꺼진 연구 불 지핀 톰슨과 크롤
과학동아
l
200605
‘유신론 철학’이란 책을 출간해 약간의 수익을 얻었다. 운 좋게도 2년 뒤 그는
세인트
루이스대 박물관 수위직을 맡게 됐다.철학을 탐구하던 중에 그는 우연히 존 허셜의 행성 섭동과 지구 빙하기에 대한 이론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그는 독학으로 이에 대한 논문을 발표해 큰 관심을 받았다. 이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02
· 마데이라 · 카나리아 제도 등 의 여러 섬을 연결하며, 다시 남쪽의 아센션섬 및
세인트
헬레나섬으로 뻗어 있다 한국의 초기 고생대 지층인 조선계(朝鮮系)에 속하는 한 통(統) 캄브리아기(紀) 초기에서 오르도비스기 중엽에 걸쳐 퇴적된 조선계 중에서 일반적으로 두꺼운 석회암과 이에 수반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