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리
지층
d라이브러리
"
성층
"(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
과학동아
l
200910
헬륨 가스로 채운 다음, 디지털 카메라를 매달아 하늘에 띄웠다. 풍선은 고도 30km 정도의
성층
권에 도착했고 결국 풍선을 이용해 지구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다. 하늘을 나는 일 외에도 풍선으로 이룰 수 있는 꿈이 있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실제로 의학계에서는 풍선을 이용하는 수술이 이뤄지고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04
고도 34km까지 먼지 뿜어낸 화산1991년 6월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이 뿜어낸 먼지는
성층
권의 중간에 놓인 오존층을 뚫고 34km나 치솟아 올랐다. 과학자들은 지구 주위를 여러 차례 도는 피나투보의 먼지를 인공위성으로 추적하기도 했다. 화산은 수십억t의 용암과 함께 수십km3의 화산재(화산 쇄설물 중 ... ...
토양오염 연구의 일등 주자
과학동아
l
200903
그것이 오염이다’라는 설명이 가장 설득력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면 오존(O3)은
성층
권에 적정량이 있을 경우 태양에서 쏟아지는 자외선을 흡수해 지구의 생명체를 보호한다. 하지만 생명체에 직접 오존이 닿으면 생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오존이 어디 있느냐에 따라서 정반대의 ... ...
덜컹! 갑자기 비행기 고도가 떨어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20
”호기심 어린 목소리로 닥터고글만 바라보며 질문하는 어여뻐 양.“제트류는 대류권과
성층
권의 경계인 대류권계면에서 주로 발생해요. 바로 이번 난다 항공사의 비행기가 순항했던 경로지요. 제트류는 상부 대류권에 있는 빠르고 강한 바람의 흐름이에요. 항공기가 제트류를 타고 더 빨리 이동할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12
촬영하는 망원경이다.일명 ‘메가번개’라고 불리는 고층대기 방전현상은 주로
성층
권 이상의 고층 대기에서 발생하는 초대형 방전 현상으로 구름에서 땅으로 치는 보통 번개와 달리 구름에서 우주 방향으로 친다. 아직까지 발생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정확히 관측한 ... ...
[화학]대기권을 통과하는 소리
과학동아
l
200810
온도에 의해서만 영향 받는다. 대류권에서는 위로 올라갈수록 소리 속력이 느려지고
성층
권에서는 증가하며 중간권에서는 다시 느려지고 열권에서는 다시 빨라진다. 3) 소리의 세기(세기레벨)는 보통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약한 소리의 세기를 기준으로 실제 측정된 소리 세기의 비를 이용해 ... ...
ISS에서 가져온 '과학선물 보따리'
과학동아
l
200807
고층대기의 방전현상 촬영에 성공했다. 일명 ‘메가번개’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주로
성층
권 이상의 고층 대기에서 발생하는 초대형 방전 현상으로 발생 원인이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이 실험을 제안한 이화여대 박일흥 교수는 “촬영 데이터가 저장된 2GB 메모리 카드 6개를 분석한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06
존재하는 물질의 일부 원소도 유도핵반응에 따라 방사성이 되며 공중에 방출되었을 때는
성층
권 및 대류권 속을 떠다니다가 천천히 지상으로 낙하한다방사성 동위원소는 반감기, 방출하는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가 각기 다르므로 이것들을 방사선 검출기로 측정함으로써 그 종류와 양을 알 수 ... ...
NASA 우주비행사가 찍은 최고의 지구사진 10선
과학동아
l
200806
쉴 수 있는 대기층이기도 하다. 대류권 바로 위로 오렌지색과 푸른색 띠 사이는 대류권과
성층
권의 경계면인 대류권계면이다. 오른쪽 위로 수줍은 듯 살짝 모습을 드러낸 물체는 달이다.스위스 베른 지역의 알프스 산맥에서 빙하가 녹아 흘러내리고 있다. 알프스는 7개국(독일, 프랑스, 스위스,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04
인쇄용 볼록화상이 생긴다 내쇄력이 좋아 볼록판 윤전인쇄에 사용된다 대류권(對流圈)과
성층
권(成層圈) 사이에서 적어도 한 번은 발산부호(發散符號)가 변하는 대기의 성질 그 결과 지면으로부터 대기상한(大氣上限)까지 적분하면 발산이 상쇄되어 작은 기압변화 경향이 남는다 지상기온이 높으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