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기
d라이브러리
"
새는 곳
"(으)로 총 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10
이때 나온 레이저는 파장 범위가 넓어지고 여러
곳
으로 퍼진다. 따라서 원하는
곳
으로 전자신호를 보낼 수 없다. 광컴퓨터나 ... 갇히기도 하지만 일부는 표면을 타고 외부로
새는
빛도 발생한다. 바로 표면파다. 원 모양의 마이크로디스크는 표면파가 사방으로 새어나와 방향성을 지닌 레이저를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03
측정하기 까다로운 하천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물
새는
곳
콕 집어낸다과거에는 상수도관이 파손되면 물이
새는
위치를 제대로 찾지 못해 물이 아깝게 낭비되곤 했다. 뿐만 아니라 상수도관에서 물이 새 지하로 흘러드는 경우 하수관을 타고 흘러나가 땅위에서는 알 수 없는 경우가 ... ...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밝다
과학동아
l
200603
씌우지 않아 빛이 360도 모든 방향으로 퍼질 경우
새는
빛과 장해광이 모두 광공해를 일으킨다. ... 밀집해 있는 고층 건물과 쇼핑몰 등에서 나오는
새는
빛과 장해광이 문제가 됐다.분석 결과 청계천을 ... 옥외 조명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조명시설이
곳곳
에 무분별하게 들어섰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9
손으로 잘 막고. 자! 힘차게 한번 불어 볼까? 호루라기는 소리가 커서 먼
곳
까지 신호를 보낼 수 있어!어떻게 소리가나는걸까?호루라기를 불면 입에서 ... 플라스틱 관 한쪽을 마개로 막고 마개의 틈을 절연 테이프로 감아 공기가
새는
것을 막아 주자. 입을 대는 입구도 절연 테이프로 감아 주면 ... ...
높이 나는 새가 정말 멀리 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4
눈이 좋아야겠지요? 눈의 망막에는‘황반’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
곳
에 사물을 감지하는 시세포가 많이 분포합니다. 시세포가 많을수록 더 자세히 볼 수 있는데,
새는
인간보다 더 많은 시세포를 가지고 있어서 더 자세히 볼 수 있답니다. 또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는 말이 있지요? 물론 높이 ... ...
예쁜 수컷, 강한 암컷
과학동아
l
200503
접근하고 맹렬하게 달려들어 앞발과 날카로운 송
곳
니로 영양을 잡는 것은 모두 암사자다. 동물의 ... 화장하는 수컷 원앙예쁜 수컷이 가장 많은
곳
은 새의 세계다. 대부분의
새는
수컷이 암컷보다 화려하다.옛 어른들은 ‘다정한 한 쌍’ 이미지로 원앙새를 많이 떠올린다. 원앙새에는 두 가지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06
하는 말을 농담 삼아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새는
그처럼 둔하거나 모자란 동물이 아니다.
새는
환경 변화에 가장 민감한 동물이며, 새가 떠난
곳
에는 인간도 살 수 없다는 걸 알아야 한다. 지구상에 새가 살지 않는
곳
은 아무데도 없는데, 지금까지 밝혀진 종류만도 8천5백63종에 이른다.새 소리를 ... ...
러시아 유인 달 선회 비행 L-1 계획
과학동아
l
200309
재진입시의 마찰열도 줄이고 착륙진입지점을 옛소련의 영토가 있는
곳
으로 옮겨보자는 것이다.공중에서 폭발시킨 본드4호이를 위해 ... 영토에서 우주선을 회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번엔 캡슐에서 산소가
새는
바람에 탑승한 생명체가 질식사하고 말았다. 결국 모두 회수는 됐지만 인간이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09
내심 기대되기 시작했다.탐사팀이 처음 주목한
새는
천연기념물 제205호 저어새. 전세계적으로 약 ... 전문가들은 멀리서도 구별할 수 있다고 한다.이
곳
에서 가장 많이 눈에 띈
새는
백로. 새하얀 몸과 서있는 자태가 우아하다. 옛날 사람들은 백로나 왜가리, 황새, 두루미와 같은 새들을 보통 ... ...
천하무적 풍선
과학동아
l
200308
풍선에 난 구멍이 넓어지지 않게 잡아주기 때문이다. 또 구멍난
곳
을 바늘이 메워 주고 있기 때문에 풍선에서 바람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동시에 찌른 안쪽 풍선은 테이프를 붙이지 않았기 때문에 터진다.뚝딱 실험2 불에 갖다대도 터지지 않는 풍선■ 왜 그럴까?!풍선에 불꽃이 닿으면 불꽃의 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