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생각"(으)로 총 2,9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논란 없는 황금비 작품수학동아 l201702
- 지금까지 황금비가 없는데 있다고 했거나 아직까지논란이 있는 작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우리가 황금비를 이야기할 때는 이런 논란의 여지가 없는 작품을 소개하는 게 좋겠죠. 황금비가 있다고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작품을 소개합니다. 그렇다고 황금비 때문에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는 건 아 ... ...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과학동아 l201702
- 마모셋과 타마린 원숭이는 남미 열대우림에 사는 신세계원숭이다. 대부분 성체 몸무게가 500g을 넘지 않는 소형원숭이다. 얼핏 보면 작은 너구리나 다람쥐 같다. 바로 앞에서 눈을 바라보고 정교하게 움직이는 손가락을 관찰해야만 비로소 우리와 같은 영장류라는 확신이 생긴다.그런데 이들 원숭이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2화 여자 기숙사 잠입!수학동아 l201702
- “글쎄. 내가 아는 한 날 해치거나 잡아가려는 사람은 없어.”“사람이 아니라면?”“사람이 아니라면? 혹시 인공지능인 마고 너한테서 도망치라는 소리?”“그건 말이 안 돼.”“푸훗. 어쩌면 너가 악당일지도 모르지.”“그건 사실이 아니고, 설령 그렇다고 해도 나한테서 도망치는 건 불가능해. ...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수학동아 l201701
- #KAIST #수리과학과 #졸업 #청년 #돼지고기……?위 5개의 해시태그 중 생뚱맞은 게 하나 있다. 돼지고기다. 앞의 4개는 연관이 있어 보이지만 돼지고기는 어울리지 않는다. KAIST 수리과학과를 졸업한 청년이 돼지고기와 무슨 관련이 있다는 걸까?KAIST 수리과학과 졸업생과 돼지고기의 연관성을 찾기 위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01
- 0과 1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 숫자다. 컴퓨터의 작동 원리를 담은 숫자이기 때문이다.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기는 전류가 흐르는 것을 1로, 차단된 것을 0으로 환산한 2진법 시스템으로 정보를 처리한다.이처럼 ‘On’과 ‘Off’를 1과 0에 대응시키는 방식은 굉장히 명쾌하지만 최선이라고 말할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에르되시-버어 추측을 해결하다!수학동아 l201701
- 이중범 박사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에서 3년간 연구와 강의를 했습니다. 2015년 가을부터는 미국 월스트리트의 어느 금융회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이 박사가 푼 문제는 ‘램지 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6명이 모이면 이중 ...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수학동아 l201701
- 공기 좋고 네온사인 없는 한적한 곳으로 여행을 가면 누릴 수 있는 특권이 있다. 밤하늘의 별이다. 도시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별이 쏟아져 내릴 듯이 많다. 아마추어 사진가, 전문 사진가 모두 너나 할 거 없이 그 장관을 찍기 위해 천문대에서 밤을 지새우는 이유다. 그런데 카메라가 없다면 이 아름 ... ...
- [소프트웨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 세운다수학동아 l201701
- 보통 소프트웨어(이하 SW) 수업에서는 학생이 재미있어하는 스마트폰 앱이나 로봇, 게임 등을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가르친다. 하지만 흥미 위주의 수업만 고집하면 저작권과 개인정보보호 같은 정보 통신 윤리 교육에 소홀하기 쉽다. 그런데 여기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학교가 있다. 프로그래밍 ... ...
- [Future] 너덜너덜 번아웃 된 기자, ‘마음챙김’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01
- “모니터에 파란색 우주선 보이죠? 그 우주선이 날 수 있도록 집중해주세요.” 2016년 9월 6일 배진우 마인드앤헬스의원 원장은 기자의 정수리에 전극을 붙인 뒤, 다짜고짜 우주선 게임을 시켰다. 전극은 특수한 기계 장치를 통해 모니터와 연결돼 있었다. 하지만 흔한 조이스틱도 없이 과연 생각만으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01
- 2016년 7월, 미국 존스홉킨스대 애덤 리스 교수가 새로운 연구 결과를 ‘천체물리학저널’에 발표했다(그는 박사과정 시절 초신성 관측으로 우주가 가속팽창한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 2011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했다). 연구팀은 가까운 외부 은하 19개에 속한 약 2400개의 세페이드 변광성과, 그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