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랏빛
보라
보라빛
바이올렛
오랑캐꽃
제비꽃
자줏빛
d라이브러리
"
보라색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떠나라! 해양 생태 탐사 뉴칼레도니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7
조금 두려웠지만, 따라나선 곳에서 형형색색 엄청나게 많은 산호를 만날 수 있었어요.
보라색
, 분홍색, 파란색 산호와 파란 바다. 산호가 가진 다양한 색은 몸속에 공생하는 플랑크톤에 의해 나타난다는 사실을 직접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듀공이 나타났다!산호가 밭을 이룬 사이로 열대어들이 떼를 ... ...
이슬 맺힌 나비와 소리없는 대화를 속삭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맛있게 꿀을 빨아먹던 호랑나비가 갑자기 내리는 비에 당황했다. 떨어지지 않으려고
보라색
투구꽃을 꼭 잡고 매달려 있는 모습이 재미있다. 백목련 피는 봄이 오면백목련을 만난 호랑나비가 기쁨의 춤을 추고 있다. 겨울 내 땅속에서 애벌레로 지내던 호랑나비에게 백목련이 피는 시기는 인생의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
과학동아
l
201212
소화와 관련된 재미있는 실험을 할 수 있다. 달팽이에게
보라색
양배추를 먹이면
보라색
배설물을, 주황색 당근을 먹이면 주황색 배설물을 배출한다. 하지만 사람은 먹은 음식의 색깔에 관계없이 갈색 대변이 나온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흥미롭게도 대변 색깔의 차이는 혈액과 관련 있다. 혈관에서 ... ...
변 신하고 싶어? 헷갈리나의 패션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2
작아 보이지. 이 중에는 노란색이 명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커 보이는 거야. 반대로
보라색
은 명도가 가장 낮아서 작아 보인단다.그렇다면 뚱뚱한 부분에 어두운 색을 배치하면 날씬해 보이겠군요. 반대로 마른 부분에는 밝은 색 옷을 입으면 약간 살이 있어 보일 테고요.맞았어! 하나를 알려 주면 ... ...
홍합으로 망가진 뼈 살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0
우리는 무리를 지어 바위에 붙어사는 연체동물이에요. 빗방울 모양으로 매끈하게 빠진
보라색
껍데기가 검은색 빛을 내며 반짝이죠. 속살이 붉어서 홍합이랍니다. 밀물 때는 바닷물에 잠겼다가 썰물 때는 물 밖으로 드러날 수 있는 연안에서부터 수심이 20m쯤 되는 곳까지 살 수 있어요. 사람들은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07
가능성도 높다.››› ‘컬러풀 지구’의 탄생지구의 ‘색’이 바뀐다. 검은 열대우림,
보라색
대나무 숲 등, 식물의 색 자체가 달라져 있다. 낸시 키앵 NASA 고다드우주연구소 연구원이 2007년 ‘우주생물학’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 도달할 때 태양빛에는 파장이 560~590nm인 노란 광자가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07
끼지 않는 유리 등이다. 생체모방공학의 교과서인 연잎의 진가는 지금부터다.[촘촘한
보라색
섬모가 텅스텐 산화물로 만든 나노와이어다. 연잎의 표면과 같은 형태로 만들었다. 가운데 노란색으로 이뤄진 것은 나노와이어에 금을 증착시킨 것이다. 왼쪽 아래와 가운데 보이는 까만 막대가 전극이다.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05
벌은 꽃의 색깔이 붉을수록 잘 보지 못한다. 벌의 눈이 파장이 짧은 가시광선(파랑이나
보라색
빛)과 자외선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또 꽃잎을 많이 만들려면 그만큼 다른 것을 포기해야한다. 다른 부분의 생육이 부실해지기도 하고, 심지어는 꽃가루를 만드는 수술이 없어지기도 한다. 속씨식물의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01
물건을 만드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빨주노초파남보 무지개 빛깔의 컵을 만들려면 먼저
보라색
레이어를 여러 겹쌓아 둥근 바닥을 완성하고 남색부터 빨간색까지 벽을 쌓아 올린다.[영국의 유명한 3차원 프린터 회사인 씽랩이 만든 MP3 플레이어. 배터리와 전자부품을 제외한 몸체를 한 번에 ... ...
나노갤러리
과학동아
l
201201
가까워질까. 나노의 신기한 세계를 사진으로 준비했다.
보라색
꽃이 활짝 피었네사진 속
보라색
꽃은 아연산화물을 지름 1nm 크기의 입자로 제작한 것이다. 물질을 나노크기로 만들면 원래 갖고 있던 성질이 변한다. 아연산화물 나노입자는 장파장 자외선(UVA)과 중파장 자외선(UVB)을 더 잘 흡수한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