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성
맺음말
결론
갈무리
완비
완벽
성취
d라이브러리
"
마무리
"(으)로 총 457건 검색되었습니다.
볼넷을 사랑한 4번타자, 평가는?
과학동아
l
201508
타자인 배리 본즈가 타석에 들어섰다. 승부를 피할 수 없는 일촉즉발의 상황, 애리조나의
마무리
그렉 올슨은 숨을 크게 마시고 힘껏 공을 던졌다. 그런데 공이 향한 곳은 홈플레이트가 아니라 타자 반대편에 멀찍이 서 있는 포수의 글러브였다. 배리 본즈는 고의사구로 걸어 나갔고 샌프란시스코는 ... ...
피곤한 투수, 팬들은 불안하다
과학동아
l
201506
임지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타자수를 피로도의 기준 으로 삼는다. 불펜 투수의 역할 역시
마무리
와 큰 차 이가 없다는 가정 하에 5월 13일까지 KBO 리그 불펜 투수 중 가장 피로도가 높은 선수는 누구일까.논란의 중심에 선 권혁이 압도적인 수치로 1위를 기 록했다. 권혁은 가장 많은 경기(22경기)에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
수학동아
l
201504
이용해 직접 눌러보고 당겨보면서 정이십면체를 만들어보는 것으로 건축창의체험을
마무리
했다.‘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에서는 맞춤형 프로그램부터 대규모 단체 프로그램까지 건축의 원리를 활용한 다양한 창의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조 건축사는 “건축은 공간지각력과 창의력을 길러 ... ...
[생활] 냉장고를 부탁해 수학의 눈으로 본 요리 대결
수학동아
l
201503
완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조리 시간이 늦어지면, 재료가 익지 않은 채로 요리를
마무리
지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요리에 능숙한 셰프에게도 15분은 짧다. 어떤 재료를 쓸지 냉장고를 열기 전까지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셰프들은 어떤 음식이든 15분 안에 완성하기 위해 ...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
수학동아
l
201503
이만근 교수의 일본여행기가 지난 호에 이어 계속됩니다. 과연 산가쿠는 어디에 있었을까요? 두 번째 이야기를 통해 실제로 찾아 낸 산가쿠를 확인해 보세요~문화·역사적 자 ... 됐다. 그 이유가 절이나 신사에서조차 수학을 중시하던 풍습 때문일 것이라 생각하며 여행을
마무리
했다 ... ...
[Hot Issue] 2015 프로야구 우승팀은 넥센 히어로즈?
과학동아
l
201503
승률 58.8%로 3위로 전반기를 마쳤지만 후반기에는 승률이 46%까지 떨어지며 5위로 시즌을
마무리
했다. 부진은 이어져 기아의 2013년 최종순위는 8위였다. 후반기 승률이 이처럼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은 얇은 선수층과 비효율적인 부상자 관리에 있다. 두 가지 모두 단기적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데다 ... ...
[Life & Tech] 찜질방 계란은 왜 갈색일까
과학동아
l
201502
포도당도 들어 있는데, 고온에서 두 성분이 반응해 갈색 색소를 만들지요. 소년이 시를
마무리
합니다.“너를 감싸는 건 작은 소금 알갱이뿐. 싫어요. 혼자는 싫어요. 이 어두운 터널을 뚫고 가기엔 난 너무 푸석한 걸요. 내 친구를 불러줘요. 냉정하고 싸늘하지만 알갱이 많은 내 친구. 식혜야 ... ...
[화보] 지구 태초의 순수를 기록하다
과학동아
l
201501
선박과 카누를 타고 32차례나 촬영 여행을 감행했다. 2004년에 시작한 촬영은 2011년에야
마무리
됐다.사라져가는 아름다움을 지켜라원시 부족이 사는 모습은 아주 오래 전 과거를 떠오르게 한다. 대자연의 법칙을 거스르지 않으면서 물과 돌, 흙과 나무를 유연하게 사용하는 인류 초기의 생활방식에선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
수학동아
l
201501
변수를 알게 된다면, 허니버터칩 열풍을 상전이현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기사를
마무리
하던 중, 드디어 허니버터칩을 구하게 됐다. 신주단지 모시듯 조심스레 한 조각 맛을 봤다. 기대가 너무 컸을까? 솔직히 아주 맛있지는 않았다. ‘나도 드디어 먹었구나’하는 뿌듯함이 더 컸다. 허니버터칩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수학동아
l
201501
이 안경을 쓰고 화면 속의 뇌를 보면 그 위로 뇌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가 보인다.탐방을
마무리
하며 이식 박사는 독자들 앞에서 자신의 스마트폰을 꺼내 들었다. 1988년 처음 우리나라에 들어온 슈퍼컴 1호기는 계산 속도가 지금의 스마트폰 수준이었다. 그만큼 슈퍼컴퓨터의 발전 속도가 빠르다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