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설문조사
리써치
설문
연구
조사
탐구
마케팅리서치
d라이브러리
"
리서치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09
독도 사이에 있는 안용복해산의 생성원인을 밝혀 국제저널인 ‘마린 지오피지컬
리서치
’에 발표했다. 이 논문에는 안용복해산뿐 아니라 이사부해산, 독도라는 이름이 나온다.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장경일 교수팀은 한국해양연구원, 부경대 연구진과 함께 국토해양부 지원(EAST-I)을 받아 독도 ... ...
같은 살모사, 사는 곳 따라 독성분 달라
과학동아
l
200808
단백질의 조성을 분석한 뒤 그 결과를 미국의 생물학저널인 ‘저널 오브 프로테옴
리서치
’ 6월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칼비트 박사팀이 중앙아메리카살모사를 잡은 지역은 큰 산으로 가로막혀 있어 살모사들끼리 최소 500만 년 이상 서로 왕래가 없던 곳이다. 흥미롭게도 카리브해 연안의 뱀은 ... ...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
과학동아
l
200805
연구해온 미국 시카고대 동양학연구소와 이란의 문화유적관리기관인 파샤가르드
리서치
재단의 고증 자료를 토대로 2500년 전 페르세폴리스를 디지털로 되살려보기 위해서다.설렘 반 걱정 반으로 도착한 페르세폴리스 유적지에서 느낀 생생한 감동을 지상(紙上)에 전한다. 모든 길은 ... ...
친환경으로 변신한 LED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05
있어 플립북의 정보를 무선으로 컴퓨터에 전송한 것. 리처드 반 데어 슬루이스 필립스
리서치
연구원은 “숍랩의 모든 조명은 LED”라며 “비싼 가격으로 매장 인테리어를 바꿀 필요 없이 LED 조명으로 매장을 손쉽게 ‘페인트칠’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것도 손가락의 ‘터치’ 한 번 만으로 ... ...
토성 위성 타이탄은 에너지 '노다지'?
과학동아
l
200803
지구에 저장된 총량보다 수백 배 많이 존재한다고 지구물리학 국제저널인 ‘지오피지컬
리서치
레터스’ 1월 29일자에 발표했다.그동안 타이탄은 메탄으로 이뤄진 두꺼운 대기에 가려 표면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지 못했다. 지난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토성궤도 탐사선 카시니에서 분리된 소형 ... ...
2010년 인터넷이 멈춘다?
과학동아
l
200801
모바일 인터넷 장비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북미의 사정이 가장 심각했다.네머테스
리서치
그룹은 인터넷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선 지금보다 420억~550억 달러를 장비 투자에 더 쏟아 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현재보다 투자 규모를 60~70% 늘려야 한다는 얘기다.브이엔유넷은 ‘느림보’ 인터넷이 우리 ... ...
PART1 백신이 여는 질병 치료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710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암 관련 최고 학술지인 ‘캔서
리서치
’ 7월호에 발표했다.암세포 표면에는 일반세포에는 없는 단백질이 있어 항원으로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방암이나 난소암에는 Her-2/neu 항원이, 췌장암이나 위암, 폐암에는 ‘CEA’(carcinoembryonic antigen)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06
바닷속에서 물결치는 대형 해파리를 닮았다. 이 결과는 지난해 2월 ‘지오피지컬
리서치
레터’에 발표됐다.흥미롭게도 스프라이트는 뇌운에서 지상 번개가 칠 때 함께 발생한다. 보통 벼락이 떨어지기 전 뇌운에서는 전자가 아래쪽에, 양전하가 위쪽에 쌓이는데, 대부분의 벼락은 뇌운 아래쪽에 ... ...
사이버 공간에 숨어있는 '훔쳐보기'와 '노출하기'
과학동아
l
200704
검색하면 이 씨처럼 ‘훔쳐보기’를 해본 사람들의 경험담이 쏟아진다. 실제로
리서치
전문회사 디지털랩이 2005년 네티즌 4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24.9%가 헤어진 연인의 홈페이지를 방문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그 중 92.3%는 아무런 흔적을 남기지 않고 방문한다고 답해 소위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11
받았다.노벨상 발표 시즌에 맞춰 미국 하버드대의 과학잡지 ‘애널스 오브 임프로버블
리서치
’(AIR)가 1991년부터 선정해온 ‘이그 노벨상’(ig Nobel Prize)은 올해도 어김없이 ‘엽기발랄한’ 과학연구에 수여됐다. 하루에 1만2000번이나 나무를 쪼는 딱따구리가 왜 뇌진탕에 걸리지 않을까(조류학),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