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형"(으)로 총 1,9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복잡하고 큰 집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수 있어서 잽싸게 서식굴 속으로 숨어버릴 수 있답니다.저는 최대 2m 길이까지 자라는 대형 갯지렁이예요. 따라서 몸 크기만큼이나 서식굴도 크지요. 깊이는 최대 1m이고, 굴의 전체 길이는 1.8m나 돼요. 가장 큰 특징은 일자로 쭉 뻗은 서식굴의 군데군데에 둥글둥글한 방이 있다는 거예요.서식굴에 ... ...
-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강아지 번식공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15
- 있대. 설마 나도 그곳으로 팔려가는 거 아냐?세상에서 가장 잔인한 강아지 번식 공장대형마트나 애견샵에서 판매되는 강아지의 대부분은 강아지 번식 공장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어요. 최근 한 TV프로그램에서 현장을 고발하면서 강아지 번식 공장의 문제점이 알려지게 됐거든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빠른 길 찾기의 비결은 ‘최단 경로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615
- 학교는 각각 지름길이 있어서 시간이 줄어들어요. 그래서 각각 가중치를 3과 4로 뒀지요. 대형 마트를 거쳐 가는 길도 마찬가지로 계산해서 5와 6으로 가중치를 뒀어요. 결국 가장 빠른 길은 가중치가 7로 가장 적은 공원을 거쳐 가는 길이지요. 방금 검토한 길은 점이 네 개밖에 없어서 간단하게 ...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속도도 빨라요. 따라서 어두운 천체도 볼 수 있고, 오랜 시간 동안 하늘을 관찰할 수 있는 대형 망원경이 필요하지요.소행성 발견에 가장 큰 공을 세운 건 2009년 NASA에서 우주로 보낸 적외선 탐사 위성인 ‘와이즈(WISE)’예요. 와이즈가 촬영한 사진으로 소행성을 찾는 ‘니오 와이즈(*NEOWISE)’ ... ...
- [도전! 코드 마스터] 컴퓨터는 내가 원하는 정보를 어떻게 찾아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순서대로 정렬하지 않으면 내가 원하는 값이 어디 있는지 찾기 어렵기 때문이랍니다.대형 포털이나 사이트에서 검색어로 정보를 찾을 때에도 검색 알고리즘이 쓰여요. 검색 대상인 사이트 내 데이터나 전세계의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와 비슷한 단어가 포함된 구간이 있는지 재빨리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과학으로 신나게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13
- 통해 자동차에 숨어 있는 과학원리를 배울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간이랍니다. 11.5톤 대형버스를 실험실로 만든 ‘모바일 주니어 캠퍼스’가 전국의 학교로 직접 찾아가기도 하지요.본격적으로 자동차에 숨어 있는 과학원리를 배우기 전, 기자단 친구들은 애니메이션을 보며 자동차의 구조를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12
- ‘엄마(Ultra Deep Monitoring for Magma Activity, UMMA)’다. 만약 성공하면 분화할 가능성이 높은 대형 화산의 땅 속 마그마가 있는 깊이까지 구멍을 뚫은 최초의 사례가 된다.다행히 외국의 저명한 화산학자들도 백두산 연구에 관심이 많다. 백두산의 학술적 특수성 때문이다. 화산은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12
- 뒤로 근엄한 이순신 동상이 머리를 드러내고 있다. 컴컴한 밤에 여섯 개의 화물용 대형 컨테이너가 대로를 막고 있다. 컨테이너는 어느 그로테스크한 시대의 설치미술처럼 보였다. 베를린 장벽처럼 사람들이 붙여놓은 것들로 다시 새로운설치미술이 되어가고 있었다. 꽃이며 편지, 근조리본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12
- 9월에 지진이 발생했던 양산단층대보다 훨씬 연약한, ‘길주-명천 지구대’라고 하는 대형 단층대와 불과 3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그리고 그 단층대를 따라 청진, 길주, 명천, 김책 등 도시가 있고 여기에 100만 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 풍계리와 백두산은 116km 떨어져 있다. 지층 균열 자체도 문제다. ... ...
- [News & Issue] 슈퍼문, 또 떴다?과학동아 l201612
- 뜬 시기에 많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왔습니다(참고 논문 ➊). 최근 20년 동안 발생한 대형 지진을 분석한 결과, 약 2주 전에 조수간만의 차가 극대화되는 시기가 있었다는 거였죠. 하지만 전문가들은 달의 인력이 커지면서 지구에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재앙을 일으킬 수준은 아니라고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