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칭"(으)로 총 7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수학동아 l201605
- 수 있어요. 위상 수학의 성질을 도형으로 설명할 수도 있고요. 저의 주된 관심사는 대칭성 있는 공간을 위상적으로 분류하는 것이랍니다. 이 분야를 연구하게 된 이유가 있나요?조합수학의 ‘4색 정리’나 ‘g-가설’같은 어려운 문제가 위상수학과 관련 있다는 걸 지도교수님을 통해 알게 됐어요.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발견한 RNA의 기원과학동아 l201605
- 성간얼음에서 탄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프랑스 니스소피아앙티폴리스대 다차원대칭선택분석학과 코넬리아 마이너트 연구원팀은 우주의 환경과 비슷한 저온(78K), 저압(10-10bar)의 실험실에서, 성간얼음의 구성물질인 물, 메탄올, 암모니아에 자외선 복사를 가했다. 그 결과 리보스를 비롯해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04
- 말할 수 있어요. 사각형은 90° 대칭인 도형이지요. 이처럼 보형 형식도 공간에서 복잡한 대칭성을 가진 함수에요. 이렇게 함수나 공간 자체를 연구함으로써 수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어요. a, b, c가 양의 정수이고, n이 3 이상의다시 보형 형식과 관련이 있어요.어떤 계기로 수학자가 되셨나요?처음부터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04
- 가진 초파리들이 많았는데, 그때만 해도 미술학도로서 곤충의 몸에 나타나는 좌우 비대칭에 흥미를 느끼는 것이 전부였다.“그러다 1985년 X선을 쪼여 만든 유전자 변형 초파리를 그리는 작업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다리 모양, 눈 색깔이 달라진 돌연변이들을 보는데 느낌이 이상했어요. 초파리들이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03
- 찢어지는 경우) 진단 기록이 확인됐다. 이 진료 기록을 볼 때 용의자에게서 보이는 비대칭 보행과 우측 팔자 보행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보행과 증상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증명할 수는 없으나 서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략) 용의자의 보폭은 오른발이 땅을 디딜 때 48cm로 평균적인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03
- 하늘을 나는 새의 날개에도 이런 깃털이 있어요. 놀랍게도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비대칭 깃털을 가진 여러 공룡의 화석이 중국에서 발견됐습니다. 새와 공룡이 매우 가까운 관계라는 뜻이지요.통계로 완성하는 새의 족보유전적, 신체적 특징을 바탕으로 생물의 친척관계를 나타낸 그림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03
- 가루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면서 나무 표면에 밑그림이 나타납니다. 만약 무늬가 일정한 대칭구조라면 반복되는 무늬가 포개지도록 도안을 여러 겹 접은 다음 천초 작업을 하면 됩니다. 이렇게 도안을 접는 것을 ‘초접기’라고 합니다. 초접기를 하면 단청을 만드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중등_수학네일아트수학동아 l201603
- 위에 학생들이 직접 테셀레이션을 그리면서 평면이동(평행이동-밀기, 회전이동-돌리기, 대칭이동-뒤집기)을 이해하도록 자세히 안내한다. 4인이 한 모둠이므로 테셀레이션 도안을 8절지 위에 완성해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다각형의 성질을 배운 뒤 테셀레이션을 담은 수학네일아트 활동을 하면,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수학동아 l201602
- 기본으로 평면을 채우는 경우를 세어 보면 총 17가지의 경우의 수가 나오게 된다.평면의 대칭군이라는 속성을 이용해 단청 퍼즐을 만들 수도 있다. 퍼즐의 종류는 다양한데, 단청퍼즐은 도형퍼즐의 일종이다. 퍼즐 중에서 도형을 분할하거나 합체해 조각을 맞춰나가는 것을 도형퍼즐이라고 한다. 이 ... ...
- [수학뉴스] 취향 존중하는 피자 배분법 발표!수학동아 l201602
- 둔각의 개수, 다각형 내각의 합 사이의 관계를 통해 꼭짓점이 2n개인 정다각형을 좌우 대칭인 n각형 2n개로 나눌 수 있음을 알아냈습니다. 정다각형의 꼭짓점이 많아질수록 전체적으로 원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동그란 피자를 자를 때 이 원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영국의 과학전문언론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