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당"(으)로 총 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09
- 대뇌피질이 없는 곤충은 주관적 경험을 할 수 없고 따라서 의식이 없는 존재가 돼버린다. 당연히 꿀맛도 느낄 수 없다.실제로 인간의 의식이 두뇌의 어느 부위에서 비롯되는 지는 아직 논쟁거리다. 전통적으로는 대뇌피질에서 나온다는 가설이 우세하다. 그런데 뇌의 80% 이상이 손상돼 대뇌피질이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08
- 영상을 봤기 때문에 현실감이 좀 떨어졌었죠. 선수들이 자신의 경기영상을 보면서 그 당시의 상황에 몰입하면, 현재 측정 중인 자신의 뇌파를 바탕으로 심리상태가 어떤지가 동시에 화면에 나타납니다. 그러면 선수들은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안정적인 심리 상태인지,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 ...
- 온 몸이 느끼는 맛 이야기 1. 혀에서 느끼는 5가지 맛과학동아 l201608
- 맛은 인체에 필수적인 영양과 이온 성분을 알려주고, 독성은 피하게끔 하는 신호로 진화했다. 특히 설탕이나 과당, 탄수화물 등 단맛 물질은 다른 맛 물질에 비해 수용체와 결합하는 능력이 상당히 약하다. 단맛에 질리는 시간을 최대한 늦춰서 우리 몸이 당을 최대한 많이 먹도록 하기 위해서다. ...
- [과학뉴스] 에너지 만들고 돈 버는 ‘똥’ 실험실과학동아 l201607
- 만들 수 있다.대변을 제공한 사람에게는 ‘꿀’이라는 경제적 보상이 주어진다. 대변 200g당 10꿀을 주는데, 3000원의 가치를 지닌다. 교내 커피숍 등에서 3000원짜리 음료를 마시거나 기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조 교수는 “단순히 수세식 화장실의 물을 아끼는 것뿐만 아니라 하수처리장 건설비와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07
- 돼지의 혈관 내피세포의 세포막에는 특이한 당이 존재한다.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는 이 당에 대한 항체를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태어난다(자연항체). 때문에 돼지의 혈관이 연결된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하게 되면 초급성면역거부반응이 일어나 빠르면 수분 이내에, 길어도 수 시간 이내에 이식된 ... ...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07
- 있다(1파트).1단계 영양분 분해우리가 에너지를 만들 때 땔감으로 쓰는 것은 지방과 당이다. 먹을 때는 엄연히 다른 영양소지만 에너지를 만들 때는 탄소 세 개로 이뤄진 피루빈산이라는 작은 분자로 쪼개진다.2단계 TCA 회로를 돌려라피루빈산은 미토콘드리아로 옮겨져 TCA 회로의 재료로 쓰인다. TCA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일일까요? 환경부에서 발표한 ‘야생동물 서식 실태조사’에 따르면, 제비는 2001년에 1㎢ 당 평균 30.5마리가 살고 있을 것으로 파악됐지만 2014년엔 26.3마리로 줄었어요. 전문가들은 그 이유를 도시화와 농약 사용으로 보고 있어요.제비가 우리나라에서 둥지를 짓고 살아가기 위해선 처마가 긴 주택과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06
- 유전자의 기본 단위인 뉴클레오티드에 이상이 생겨 나타난다. 뉴클레오티드는 당과 인산, 그리고 염기로 구성된 것으로, DNA 사슬의 기본 구성단위다. 염기는 아데닌(A), 구아닌(G), 시토신(C), 티민(T) 네 종류가 일정한 순서에 따라 배열돼 있다. 사람의 유전자는 네 종류의 염기 약 30억 쌍이 일정한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06
- 특이한 글리코실화 패턴을 확인했다(doi: 10.1126/science.aaf5316). 글리코실화는 아미노산 외에 당 성분이 단백질에 추가로 붙는 것을 의미하는데, 바이러스는 이 부위를 숙주 세포에 결합하는 닻으로 활용하곤 한다. 유괴범이 달콤한 사탕으로 순진한 아이들을 유인하는 수법과 비슷하다.네이처에 연구 ... ...
- [과학뉴스] ‘해충 퇴치!’ 달콤한 피 흘리는 식물과학동아 l201606
- 그 중에는 해충을 공격하는 개미가 세 종류 이상 포함돼 있었다. 이런 개미들은 공격당한 식물을 자주 찾아갔고, 정상적인 잎보다 상처 입은 잎 위에서 세 배가량 더 오래 머물렀다. 상처 입은 잎에서 흘러나온 용액을 정상 잎에 떨어뜨리자, 정상 잎도 해충에 의한 피해가 50% 이상 감소했다. 용액의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