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념관
기념물
묘비
비석
d라이브러리
"
기념비
"(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04
입구 안내 센터에는 ‘호주 천문학의 수도’라는 커다란 간판과 AAO 천문대의 돔 모형이
기념비
처럼 서 있었다. 이곳은 3천명의 주민이 서울 만한 넓이에 띄엄띄엄 흩어져 살고 있고, 마을 중심에도 약 3-4백명 정도만 거주하고 있어 도시라는 기분이 들지 않았다. 더욱이 하늘로 빛이 퍼져나가지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01
예술가들의 터무니없는 환상으로 치부했기 때문에 축소모형만 전시되고 만 미완의
기념비
였다. 그러나 계획대로 이 탑이 세워졌더라면 옛소련으로서는 1931년에 완공된 뉴욕의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보다 무려 25m나 더 높은 현대적 구조물을 미국보다 먼저 가질 수 있었을지 모를 일이다. 비록 이 ... ...
영혼, 육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905
퀴블러로스 역시 죽음을 앞둔 환자를 연구하여 무디와 비슷한 결론에 도달한다.무디의
기념비
적인 저서를 계기로 사람들은 비웃음을 살까 두려워 할 필요없이 NDE 체험을 발표하게 된다. 무디의 저서에 영감을 받은 심리학자 케네스 링은 사고, 질병 또는 자살기도로 죽음에 가까이 갔던 1백2명을 ... ...
자연의 일부 생태건축 그린빌딩
과학동아
l
199905
그 중에서도 인간이 건설한 수많은 건축물들은 자연을 지배하고 변형해 이룩한 인류의
기념비
이다. 최근 인간이 이룩한 과학기술문명의 파괴적인 후유증을 목도하고 건축에서도 자연친화적인 사고를 실천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른바 ‘생태건축’이라고 불리는 개념이 그것이다.건축은 그 ... ...
물리학의 한계에 도전하는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01
실용화된다면 비용도 30%나 절감할 수 있다. 그래서 구리칩의 개발을 새로운 시대를 여는
기념비
적 사건이라고 높이 평가하는 사람도 있다. 구리칩은 물리학의 한계를 빗겨가면서 반도체의 성능을 높인 대표적인 예이기 때문이다.KAIST 반도체재료실험실은 구리칩과 같은 반도체재료혁명을 꿈꾼다.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12
식민지로 삼는다는 설정도 심심찮게 접할 수 있다. 고전적인 예로는 아서 클라크의
기념비
적 장 편 '지구유년기 끝날 때'(1953)를 들 수 있다. 인류가 우주를 향해 최초의 로켓을 발사하려는 즈음 갑자기 세계 각지의 대도시 상공에 거대한 외계 우주선들이 나타난다. 인류는 지구와 비교조차 할 수 ... ...
용가리와 고질라에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07
손꼽히는 고전 걸작일 뿐만 아니라 평론가들 사이에서 새로운 용어를 탄생시킨
기념비
적 작품이기도 하다. 바로 '이드(무의식)로부터의 괴물'이라는 말을 낳은 작품이다.지구의 순찰우주선 한대가 외계 행성에 도착한다. 이들은 연구차 와있던 지구인 과학자들이 모두 죽고 오로지 한명만 남았다는 ... ...
타코마교의 교훈
과학동아
l
199807
사고 전까지는 인구 18만명의 이름 없는 작은 도시였던 타코마시는 20세기 기술역사상
기념비
적인 사고로 기록된 타코마교의 붕괴로 일약 유명해졌다.타코마교는 공사 중에도 많은 진동이 있었고 건설된 후에도 교량의 흔들림 현상이 계속돼 '흔들다리'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러한 흔들림이 ... ...
이별의 씨앗이 된 현미경
과학동아
l
199803
뉴옥 등의 학회 및 학사원의 명예회원이 됐다. 그리고 그가 사망한 뒤에는 여러 나라에서
기념비
를 세우는 등 그를 기리는 행사가 잇따랐다.코흐의 업적 가운데에서도 인류 역사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1882년에 결핵균을 발견하고 그것이 결핵이라는 질병의 원인라는 사실을 증명한 일이다. ... ...
2. 통신혁명의 주춧돌 정보이론
과학동아
l
199801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샤논이 50년 전 제시한 정보이론은 바로 이 연구분야에 물꼬를 튼
기념비
적 사고다.이제는 일상용어가 돼 거리낌 없이 사용하는 낱말 중 '통신'이란 단어가 있다. 이동통신, 휴대통신, 위성통신, 정보통신, PC통신 등. 과연 통신이란 무엇인가? 일단은 '정보의 전송 및 저장'으로 ... ...
이전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