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련
솜씨 좋음
손재주 있음
풍부함
힘참
책략
술책
d라이브러리
"
교묘함
"(으)로 총 163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이 펼치는 유혹의 기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
봄이 되자 꽃들이 술렁거려요. 고래가 노래를 하고 나비와 벌들은 춤을 춥니다. 자연이 펼치는 각양각색의 유혹은 봄을 다채롭게 물들여요. 춥고 배고픈 겨울을 견뎌 낸 자연은 따스한 봄이 되자 절로 사랑이 하고 싶어지나봐요. 알록달록한 색과 아찔한 향기, 교묘한 속임수에서 역동적인 춤사위까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05
특수 종이와 무선통신 기술이 결합된 최신의 디지털 펜은 손으로 쓴 데이터를 현장에서 기록하고 e메일을 보낼 수 있는 컴퓨터용 데이터로 바꿔준다. 이것은 용지작성에서 단조로움을 없애면서 공문서의 ‘발자취’를 보장한다. 생물체에 섭취된 물질의 대사속도(代謝速度)를 나타내는 지표(指 ... ...
PART1 컴퓨터 바이러스는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04
1986년 1월, 파키스탄에서 세계 최초의 사이버 생명이 탄생했다. ‘브레인’(Brain) 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은 이 사이버 생명은 360KB 플로피 디스크에만 감염할 수 있는 원시적인 존재였다. 그러나 그 뒤로 바이러스는 마치 생물처럼 진화를 거듭하며 번성과 멸종을 거듭했다.점점 교묘해지고 강해진 ... ...
인간은 호모 퀴클리쿠스?
과학동아
l
200601
Q.창간 20주년을 맞은 과학동아에 축하의 인사를 보낸다. 20주년을 넘어 200주년이 될 때까지 언제나 사랑받는 훌륭한 잡지이길 바란다. 이를 기념해 복면산을 풀어보자. 언제나 그렇듯 같은 글자는 같은 숫자를, 다른 글자는 다른 숫자를 나타내며, *에는 아무 숫자나 올 수 있다. A.어찌보면 1년이라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12
‘음악’하면 제일 먼저 뭐가 떠오르는가. 40대라면 정장을 차려입고 콘서트홀에서 우아하게 클래식을 즐기는 장면? 30대라면 중학교 때 처음으로 워크맨을 사고 기뻐서 폴짝폴짝 뛰던 기억이나 몇 단 짜리 책장을 꽉 채운 CD들이 아닐까. 10대와 20대라면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이 담긴 MP3플레이어를 ... ...
무한 에너지 꿈꾸는 빛의 마술사
과학동아
l
200510
“우리나라도 세계적인 에너지 강국이 될 수 있습니다.”하루가 멀다하고 오르는 기름값 때문에 에너지난에 시달리는 한국으로선 귀가 솔깃한 얘기다. 비결은 바로 핵융합 발전.핵융합 발전은 중수소에 리튬을 충돌시켜 삼중수소를 만들고, 이를 다시 중수소와 융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 ... ...
4 TV, 기억을 잃어버리다
과학동아
l
200505
겨울연가 등 기억상실증을 다룬 드라마는 종종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그러나 감상적이 되기 전에 잠깐. 아무리 상상력을 덧붙였다지만브라운관 속의 기억상실은 정말 사실일까. 영화와 TV에 나온 기억상실증을 하나하나 살펴보자.드라마 ‘열여덟 스물아홉’29세가 18세로 되돌아간다먼저 ‘ ... ...
바다가재 색깔 비밀 양자이론으로 풀려
과학동아
l
200503
바다가재를 익히면 왜 빨간색으로 변할까? 바다가재는 살아있을 때는 검푸른 색을 띠지만 익히면 빨갛게 변한다.바다가재의 색깔을 결정하는 것은 크루스타치아닌이라는 단백질에 붙어 있는 색소 분자 아스타크산틴. 아스타크산틴은 카로티노이드 색소 계열의 하나로 오렌지, 토마토 등이 붉은 색 ... ...
짝짓기를 위해 암컷으로 변장하는 호주 오징어
과학동아
l
200502
덩치가 작은 호주 오징어가 덩치가 큰 수컷에 둘러쌓인 암컷과 짝짓기를 하기 위해 교묘하게 암컷으로 변장한다는 사실이 과학학술지 ‘네이처’ 1월 20일자에 소개됐다.미국 우드홀 해양생물학실험실의 해양생물학자 로저 핸론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수천 마리의 호주 오징어를 몇 년 동안 관찰했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02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딥 임팩트가 혜성 템펠1과 충돌하는 임무를 띠고 1월 12일 발사됐다. 탐사선은 탑재한 충돌선 임팩터를 발사한 뒤 혜성에서 500km 떨어진 거리에서 충돌 현장을 촬영하며 혜성 내부의 구성물질이 관측될 전망이다. 생물체에 섭취된 물질의 대사속도(代謝速度)를 나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