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시"(으)로 총 8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12
- 빛에 맞춰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인터넷도 없이 그게 가능하냐고요? 물론입니다.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즉 빛으로 통신하는 기술이니까요. 어두운 바다에서 등대와 고기잡이배가 빛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것과 개념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LED 전구는 사람의 눈으로 ... ...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쓰고, 애기똥풀과 서양민들레 씨앗을 확대경으로 관찰하는 미션도 수행했어요. 온몸에 가시가 있는 지느러미엉겅퀴 사진도 찍었지요. 이 과정에서 각 식물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배울 수 있었어요. 또 토끼풀로 예쁜 장식품을 만들고, 가족과 함께 사진을 찍는 미션을 통해서 가족간의 정을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11
-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이 같은 어업 방식으로 이미 수십 년 전부터 해양 생태계에 가시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세계자연기금(WWF)과 런던동물학회(ZSL)가 9월 15일 발표한 ‘해양생명 보고서’에 따르면, 해양 생물 1200종을 분석한 결과 1970년 이후 개체수가 49% 감소했다. 인간이 즐겨 먹는 ... ...
- [Knowledge] 전자 세상에서 가장 작은 보석과학동아 l201509
- 이유도 전자기적인 상호작용 때문이다. 원자를 이루는 전자들에 의해 전자기파의 일종인 가시광선(햇빛)이 산란돼 손바닥을 뚫고 똑바로 나아가지 못한다.도대체 전자는 어떤 형태로 원자 내부에 자리잡고 있을까? 이야기의 결말은 결국 양자역학이 맺게 된다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10mm, 일개미가 7~13mm에 이른답니다.개미전시실에는 일본왕개미는 물론 한국홍가슴개미, 가시개미, 광택불개미 등 우리나라에 사는 개미 8종과 흰개미 1종, 벌 2종이 전시돼 있었어요. 6월부터는 지구촌 첫 농사꾼이라 불리는 잎꾼개미 등 해외개미 6종도 추가될 예정이라고 해요.“어? 이게 무슨 ...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수학동아 l201509
- 담아 사진으로 나타내지요. 사람의 눈은 파장이 380~800나노미터(nm, 1nm는 100만 분의 1mm)인 가시광선만 볼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그런데 카메라가 깊이를 감지한다고요?네, 3차원 센서를 이용해 카메라와 사물 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멀고 가까운지 구분한다는 뜻이에요. 원근감을 이용해 입체 사진을 ...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08
- 않게 볼 수 있지요. 파인애플이나 망고, 바나나, 메론, 용과(dragon fruit)뿐 아니라 삐죽빼죽 가시로 뒤덮인 두리안, 단단한 껍질 안에 속살이 하얀 망고스틴, 어마어마한 크기를 자랑하는 뚱뚱보 잭푸르트, 단면이 별 모양인 스타프루트 등 말이에요. 열대과일은 생김새가 독특한 만큼이나 맛과 향기도 ... ...
- 태양계 끝 명왕성과의 만남과학동아 l201508
- 거리는 76만8000km. 뉴호라이즌 호의 고해상도 망원카메라 ‘로리’가 찍은 흑백 사진에 가시광선·적외선 분광계인 ‘랄프’가 수집한 데이터를 더해 색을 칠했다. NASA는 14일 홈페이지를 통해 이 사진을 공개하면서 “명왕성 표면에는 가장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의 거리가 약 1600km인 거대한 ‘하트’ ... ...
- [생활] 우주로 떠나는 시간여행 천문학수학동아 l201507
- 등 눈에 보이지 않는 파장의 빛까지 측정하는데, 그 중에서도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측정한 데이터는 이미지로 기록된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가장 흔히 쓰이는 SW는 ‘아이라프(IRAF)’다. 아이라프를 통해 이미지에 담긴 우주 물질의 온도와 밀도, 구성 성분의 비율,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06
- 표면 근처)에서 같이 일어날 때가 많다(둘 의 차이에 대해서는 아래 동영상 참조). 태양 가시광선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지만 특정한 파장의 빛으로 관찰하면 쉽게 볼 수 있다. 플레어는 자기장이 서로 반대되는 지역이 잇닿아 있을 때 그 경계면에서 나타 난다. 자기장 에너지가 방출되는 게 원인으로,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