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흙
토양미생물
미생물
토양오염
오염
토지
대지
뉴스
"
토양
"(으)로 총 76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에 지렁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2015.08.05
대한 비밀이 풀렸다. 지렁이는 흙에 덮인 식물 조각들을 분해해 식물 속에 든 탄소를
토양
으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제이크 번디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대 교수팀은 지렁이가 ‘드릴로디펜신(drilodefensin)’이라는 효소 덕분에 식물 조각을 잘 분해할 수 있다고 4일 밝혔다. 식물은 폴리페놀이라는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참조). 책을 읽다가 질소고정 박테리아 대부분이
토양
에서 독립생활을 한다는 사실에 또 한 번 놀랐다. 숙주식물과 공생을 하면서 질소고정을 하는 박테리아는 일부라는 것이다. 따라서 주변에 콩과식물이 없을 경우에도 자연계에서는 식물들이 치명적인 ... ...
검은 흙이 5분 만에 하얀 흙으로
2015.07.13
정화기술은 경제성이 높고 정화성능도 기존 방식보다 월등하다”며 “국내외 유류오염
토양
정화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용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연구했고 그 결과 많은 사실이 밝혀졌는데, 기사에서는 이를 12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토양
미생물의 경우 오염 직후에는 급감했지만 이제는 구성이 바뀐 상태다. 즉 기름을 먹는 박테리아가 늘어났다. 다만 이런 변화는 습지의 파괴를 가속화할 수 있다고 한다. 다음으로 급감했던 개미가 다시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무늬가 보이기도 한다. 이후 이 퇴적층에 관목이 자라면서 뿌리를 내린다. 뿌리 주변의
토양
에는 유기물질에 의해 주변보다 약간 단단한 부위가 생기는데 이런 상태에서 침식이 일어나면 단단한 부분이 골무나 모자처럼 작용해서 그 아래의 석회암을 보호한다. 이 부위는 침식에 좀더 오래 견뎌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퓰리쳐상 수상 비결은 과거에 귀를 기울이는 것”
2015.06.08
함유된 농약을 사용했는데, 면화 농장을 논으로 바꿔 쌀을 재배하는 곳에서는 쌀이
토양
에 함유된 비소를 흡수하기 쉽다는 것이다. 이처럼 역사적인 사실은 다양한 영역에서 실생활에 유용한 과학 뉴스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블룸 교수는 “최근 뉴욕타임스 블로그에 글을 쓰고 있는데, 비스페놀 A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팍스 로보티카’를 위한 로봇 기술
2015.05.23
화성에 도착한 뒤 현재까지 활약 중인 우주 탐사 로봇 ‘큐리오시티’. 화성의 암석 및
토양
채취 분석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 달과 화성을 개척하고 국제우주정거장도 운전 로봇의 가장 큰 장점은 척박한 환경에서 사람 대신 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 ...
학생식당에, 도서관에 ‘총장님’이 뜬다
2015.05.20
진정한 교육은 총장이 된 뒤에도 그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다. “교육은 ‘
토양
’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인생을 돌아보면 그래요. 초등학교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가정형편이 어려웠지만 교육을 받아서 꿈을 이룰 수 있었거든요.” 인하대 1호 여성총장이자 모교 출신으로는 2호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스웨덴 웁살라대 티스 에테마(Thijs Ettema) 교수팀은 수심 3283미터에 이르는 북극해의 해저
토양
을 채취해 메타게놈을 분석했다. 메타게놈이란 시료에 있는 생물체 전체의 게놈이다. 예전에는 시료에서 페트리접시에 배양하는데 성공한 미생물만 게놈을 분석할 수 있었지만, 감도가 높은 분석법이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파리그린(Paris green)이다. 농민들은 안도했지만 워낙 유해한 물질이라 시간이 지나면서
토양
오염과 중독 등 문제점이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결국 1910년 미국에서 살충제법(Insecticide Act)이 통과되면서 살충제가 관리되는 시대에 들어갔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1937년 미국에서 독성학의 역사에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